Wilson Centre

[질적연구] 질적 연구의 이론 구성: 근거 이론에서 가추 분석까지

Meded. 2024. 7. 15. 00:26

출처: Timmermans, S., & Tavory, I. (2012). Theory construction in qualitative research: From grounded theory to abductive analysis. Sociological theory, 30(3), 167-186.

https://journals.sagepub.com/doi/10.1177/0735275112457914

 

사회 과학에서 개념 혁신의 중요한 경로는 경험적 데이터를 바탕으로 이론적 아이디어를 구성하는 것입니다. 사회학자들은 경험적 현상을 이해하려고 노력하면서 종종 "이론을 구성constructing theory"하게 되며, 이는 자신이 작업하는 관찰을 더 잘 이해하고 다른 경우의 관찰을 예측할 수 있는 메커니즘, 특정 사례 또는 인과적 진술 간의 연결을 일반화하려는 창의적 시도에 참여하는 것입니다 (Abend 2008:177–79; Gross 2009a). 이론 구성은 현상을 "무엇의 사례인가is a case of"를 이해하는 기존 방식을 활용하여 "수수께끼를 풀고puzzling out" 문제를 해결하는 지속적인 실용적 과정입니다 (Ragin 1992; Tavory and Timmermans 2009; Winship 2006). 이러한 일반화의 공통 기반은 경험적 발견을 설명하는 방식으로 데이터와 일반화 간의 변증법적 관계입니다.the common ground in such generalizations is the dialectic between data generalization as a way to account for empirical findings

 

데이터와 관련하여 예상치 못한 이론적 공식화와 범주가 등장한다고 주장하는 것은 데이터를 기반으로 이론을 구축하는 것에 대한 메타이론적 논쟁에서 사회적 실천자의 위치를 설정하는 것입니다. 근거 이론은 1960년대 후반부터 데이터에서 이론이 출현하는 것을 대중화했습니다. 실제로, 데이터 기반 이론 구성을 위한 휴리스틱 지침을 제공하겠다는 약속 덕분에 근거 이론은 지배적인 데이터 분석 접근 방식이 되었습니다. Barney Glaser와 Anselm Strauss의 저서 《근거 이론의 발견》(1967)은 사회학, 인류학, 사회복지, 교육, 법률, 경영, 간호 및 의학 연구, 그리고 컴퓨터 및 정보 과학 전반에 퍼졌습니다. 그들의 코딩 체계와 휴리스틱 원칙은 가장 널리 사용되는 질적 데이터 분석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에 통합되었습니다 (MacMilan and Koenig 2004). 결과적으로, 비평가들은 대안적 접근 방식을 발전시키기 위해 근거 이론을 주된 대조물로 사용했습니다. Burawoy는 근거 이론의 귀납적 초점에 반대하여 자신의 확장 사례 방법을 처음 개발했습니다 (Burawoy 1991:8–28, 272–79; 1998). DeVault는 근거 이론의 원칙에 반응하여 Dorothy Smith의 제도적 민족지를 적응시켰습니다 (Devault 1995; 하지만 Clarke 2008 참조).

 

근거 이론의 인기와 광범위한 유통에도 불구하고, 헌신적인 실천자들조차도 근거 이론이 새로운 경험적 기반 이론을 창출하겠다는 약속을 이행했는지에 대해 의문을 제기해 왔습니다 (Bryant 2002; Charmaz 2006; Clarke 2005). 근거 이론의 원칙이 많은 연구자들을 "정상 과학normal science"의 확고한 지침으로 안내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이러한 연구에서 이론적 혁신이 거의 나타나지 않은 것 같습니다. 일부 연구자들은 이론적 돌파구의 부족을 근거 이론 원칙의 태만한, 불완전한, 또는 부정확한 적용으로 설명합니다. 그들은 근거 이론이 코딩을 포함하는 모든 연구 노력, 모든 형태의 질적 데이터 분석, 그리고 모든 종류의 이론 구성을 레이블링하는 데 사용되었다고 주장합니다. 근거 이론을 주장하는 연구는 종종 원래의 방법론적 원칙과 거의 관련이 없으며, "근거 이론"이라는 레이블을 질적 연구와 잘 명시되지 않은 분석 전략의 부재를 나타내는 약어로 사용합니다 (Hood 2007; Titscher et al. 2000). 많은 사람들은 근거 이론의 귀납적 초점이 이론 개발을 저해하는 중요한 약점이라고 봅니다. 원래의 책과 특히 Glaser의 지속적인 작업에서, 근거 이론의 특징은 이론적 선입견 없이 데이터에서 새로운 이론을 도출하는 것이었습니다. 따라서 Wacquant는 근거 이론을 "인식론적 동화fairytale"라고 일축했고 (2002:1481), 보다 관대한 비평가들은 단순히 귀납적 초점 때문에 근거 이론이 이론을 개발하는 약속을 지키지 못했다고 지적합니다 (Emerson 1987; Snow, Morrill, and Anderson 2003).

 

최근 일부 연구자들은 새로운 이론을 생성한다는 명시된 강조점 때문에 근거 이론이 실용주의 과학자-철학자 Charles S. Peirce가 유추abduction라고 부른 것과 인식론적으로 훨씬 더 가깝다고 주장해 왔습니다: 이는 놀라운 증거를 기반으로 가설을 창의적으로 생산하는 것을 의미하는 그의 논리 및 추론 이론의 중심 개념입니다 a central concept in his theory of logic and inference that denotes the creative production of hypotheses based on surprising evidence (Coffey and Atkinson 1996; Haig 1995; Kelle 2007; Locke 2007; Reichertz 2007; Strubing 2007). 그러나 이 저자들은 주로 근거 이론 프로젝트 내에서 유추의 역할을 확장하는 데 관심이 있습니다 (특히 Locke 2007; Reichertz 2007; Strubing 2007 참조). 실제로 근거 이론 운동의 주요 인물들 중 일부도 이 방향으로 이동했습니다. 예를 들어, Charmaz (2000, 2006, 2009)는 "구성주의" 근거 이론을 옹호하며 데이터 분석의 반성적 성격을 상호적이고 반복적인 과정으로 주목했습니다. 그녀의 가장 최근 저서에서 Charmaz는 이러한 구성주의 근거 이론의 틀 내에서 유추를 언급하기도 했습니다 (2009). 다른 근거 이론가들과 유사하게, Charmaz는 유추를 귀납의 보조로 위치시켰습니다 Charmaz positioned abduction as secondary to induction : "근거 이론은 데이터의 귀납적 분석으로 시작하지만, 연구된 삶의 상상력 있는 해석을 창출하기 위해 귀납을 넘어갑니다. 우리는 흥미로운 발견에 대해 상상력 있게 생각할 때 유추적 논리를 채택하고, 우리의 추정을 확인하기 위해 현장으로 돌아갑니다" (Charmaz 2009:137–38). 이 관점에 따르면, 유추는 창의적인 추론 과정을 반영하고, 이러한 추론을 더 많은 데이터로 이중 확인하는 과정입니다. 따라서 유추는 근거 이론의 전통적인 권장 사항인 데이터와 이론 사이를 반복적으로 이동하는 것과 일치합니다 abduction reflects the process of creatively inferencing and double-checking these inferences with more data. As such, abduction fits in with the traditional grounded theory recommendation to move back and forth between data and theory iteratively. .

 

우리는 Charmaz의 근거 이론에 실용주의적 추론 이론을 주입하려는 목표에 많은 공감을 하지만, 데이터와 이론 구성 간의 관계를 훨씬 더 근본적으로 재고해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아래에서 개발하는 것처럼, 우리는 귀납적 틀 내에서의 추측의 지점으로 유추를 생각하는 대신, 유추를 우선시하는 분석적 접근 방식을 제안합니다. 이론 구성 과정에서 유추가 시간적 및 분석적으로 먼저 온다고 주장합니다. 근거 이론이 질적 연구를 조직하는 유용한 도구를 여전히 제공하지만, 유추와의 관계에서만 이론 구성이 의미를 갖습니다.

 

우리는 Peirce의 추론 이론을 근거 이론을 정당화하기 위한 방법으로 사용하는 대신, 이론적 혁신을 촉진하기 위해 근거 이론 기반에서 유추적 분석을 구성합니다 we thus construct abductive analysis from a grounded theory foundation to foster theoretical innovation . 유추적 분석은 이론 구성을 목표로 하는 질적 데이터 분석 접근 방식입니다. 이 접근 방식은 여러 기존 사회학 이론의 배경에서 이상하고 놀라운 경험적 발견을 체계적인 방법론적 분석을 통해 육성하는 데 기반합니다. 따라서 이는 근거 이론과 관련된 핵심 아이디어, 특히 질적 데이터 분석에서 기존 이론의 역할과 방법론과 이론 생성 간의 관계를 근본적으로 재고해야 합니다.

 

우리의 주장은 세 단계로 진행됩니다.

  • 첫째, 우리는 Peircian-실용주의 접근 방식으로 이론 구성을 개발합니다. 근거 이론에서 귀납이 한 역할을 비판적으로 평가한 후, 유추의 논리를 개요하고 데이터 항목의 형태로 잠재력을 이론적 일반화로 바꾸는 방법을 검토합니다.
  • 둘째, 우리가 보여주는 것처럼, Peirce의 유추 개념의 현대적 재작업은 기존 이론에 비추어 발견을 놀라운 것으로 인식할 수 있는 능력에 의존하며, 광범위한 이론에 대한 깊은 친숙함을 전제로 합니다. 근거 이론과 "우리의 좋아하는 이론"으로 데이터를 다룬다는 접근 방식 (Burawoy 1998:16) 모두와 반대로, 우리는 이론 구성을 촉진하고자 한다면 이론적 무신론자도 아니고 공개된 일신론자도 아닌, 정보에 입각한 이론적 불가지론자가 되어야 한다고 주장합니다we show that if we wish to foster theory construction we must be neither theoretical atheists nor avowed monotheists, but informed theoretical agnostic .
  • 셋째, 우리는 근거 이론의 방법론적 휴리스틱, 우리가 질적 사회학에 대한 근거 이론의 지속적인 기여로 보는 것,이 새로운 이론적 통찰을 개발할 수 있는 기회를 연구자들에게 제공한다고 이론화합니다. 우리는 근거 이론의 반복적 코딩과 메모 작성의 세심한 방법론적 지침이 재방문, 비익숙화 및 대안적 사례 과정을 통해 이론 구성을 촉진한다고 주장합니다.

이 논문 전반에 걸쳐 우리는 관찰상의 놀라움이나 수수께끼를 허용하는 것이 질적 연구 설계의 중심 목표가 되어야 한다고 주장하며, 비록 이론 구성을 위한 세트 공식은 있을 수 없지만, 특정 연구 조직 형태가 독창적 이론적 기여가 나타날 가능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고 강조합니다.

근거 이론의 귀납적 딜레마
THE INDUCTIVE DILEMMA OF GROUNDED THEORY

1960년대에 Glaser와 Strauss는 이론가와 경험 연구자 간의 노동 분업이 점점 더 커지고 있음을 인식했습니다. Parsons와 Blau와 같은 이론가들은 경험 연구자의 작업을 지향하는 광범위한 "논리-연역적 logico-deductive " 이론을 생성했으며, 이는 반박의 피드백 주기에서 이루어졌습니다. 이론적 풍경을 조사한 Glaser와 Strauss는 이 접근 방식이 실질적인 사회 생활과 거의 연결되지 않은 이론을 생성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이는 연구자들이 데이터를 기존 개념의 틀에 억지로 맞추기 때문입니다. 대신, 그들은 이론적 근거에서 표본화된 그룹 간의 지속적인 비교 과정을 통해 이론적 범주의 "출현"에 기반한 이론을 생성하는 것을 선호했습니다. 《근거 이론의 발견》에서 그들은 연구자들이 기존 이론에 대한 초기 헌신에 의해 길을 잃지 않도록 여러 번 경고했습니다: "효과적인 전략은, 처음에는 연구 영역의 이론과 사실의 문헌을 문자 그대로 무시하는 것입니다. 이는 범주의 출현이 다른 영역에 더 적합한 개념에 의해 오염되지 않도록 보장하기 위함입니다" (Glaser와 Strauss 1967:37).

 

Glaser와 Strauss는 추상화의 휴리스틱 과정을 통해 실질적 또는 형식적 이론으로 이어지는 "이론 개발의 귀납적 방법 inductive method of theory development"을 제시했습니다:

"자신의 데이터에서 이토록 다양한 것을 이론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분석가는 분석 중인 질적 자료보다 개념적 추상화의 수준에서 아이디어를 개발할 수밖에 없습니다. ... 분석가가 원시 데이터를 시작하면, 처음에는 실질적 이론으로 끝날 것입니다. ... 만약 그가 추상적인 사회학적 범주에 관한 여러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로 시작한다면, 그는 개념적 영역에 관한 형식적 이론으로 끝날 것입니다.
If the analyst starts with raw data, he will end up initially with a substantive theory. … If he starts with the findings drawn from many studies pertaining to an abstract sociological category, he will end up with a formal theory pertaining to a conceptual area. " (Glaser와 Strauss 1967:115)

 

Glaser와 Strauss는 방법론적 과정의 투명성과 그 결과로 생성된 개념적 틀을 기반으로 평가되어야 하는 "지속적 비교 방법"을 제안했습니다: "범주가 맞고 작동합니까? 데이터에 명확하게 나타나며, 의미 있는 어떤 것을 설명, 예측, 해석합니까?" (Glaser와 Strauss 1967:91). 이론적 표본 추출은 "출현하는 범주의 개발을 촉진하기 위한 이론적 관련성"에 따라 비교 그룹을 표본화할 것을 제안합니다 (Glaser와 Strauss 1967:49). 이와 같이, 그들은 근거 이론 방법론이 Merton이 "높이 추상화된 이론과 수많은 미세한 실질적 연구 사이"라고 부른 중범위 이론 middle-range theories “between highly abstract theory and the multitude of miniscule substantive studies” 을 생산하기를 열망했습니다 (Glaser와 Strauss 1967:97).

 

동시에, Glaser와 Strauss는 이론적 통찰력이 연구 영역에 대한 이론적 통찰력과 통찰력을 활용하는 능력을 결합한 "이론적 민감성 theoretical sensitivity (ability to have theoretical insight into an area of research, combined with an ability to make something of insights)"이라는 개인적 자질의 함양을 요구한다고 언급했습니다. 이론적 민감성은 실질적 및 형식적 수준의 범주와 가설의 "무기고"로 구성되었습니다. 그러나 다시 한 번, 그들은 사회학자들이 "선입견", "교리적인" 또는 "애완" 이론에 전념할 때 창의성이 상실된다고 강력히 경고하면서 이러한 이론적 민감성에 대한 요구를 자격으로 설정했습니다 (Glaser와 Strauss 1967:46). 그러므로 처음부터 그들의 귀납적 접근에 대한 헌신은 인식론적 및 실용적 딜레마를 만들었습니다: 연구자들은 기존 이론에 얽매이지 않고 새로운 이론을 생성하도록 경고받았지만, 새로운 이론을 생성하기 위해 기존 이론에 대한 폭넓은 친숙함을 바탕으로 이론적 민감성이 여전히 필요했습니다From the beginning, then, their commitment to an inductive approach created an epistemological and practical dilemma: Researchers were admonished to generate new theory without being beholden to preexisting theories, but they still required theoretical sensitivity based on a broad familiarity with existing theories to generate new theories .

 

이러한 모순된 조언은 논리적 문제를 회피했습니다: 귀납은 이론을 생성하지 않습니다 Induction does not generate theory. . Glaser와 Strauss의 귀납 접근 방식은 관찰 가능한 데이터에서 일반화된 이론만이 신뢰할 수 있는 이론이라고 주장한 초기 경험주의 철학자들의 접근 방식과 유사합니다. 실제로 Francis Bacon은 1620년 《노붐 오르가눔》에서 연구를 수행하기 전에 이론적 편견에서 벗어나기 위해 "우상"을 버리라고 주장했습니다 (Bacon [1620] 1994). 그러나 심지어 현대 철학적 합리주의자들도 Bacon의 "순진한 경험주의"를 공격했으며 (Chalmers 1999), 그의 철학은 Hume의 "귀납의 문제"와 인과 관계를 자연스럽게 인식할 수 있다는 주장에 대한 Kant의 비판에 의해 치명적인 타격을 입었습니다. 대부분의 과학 철학자들은 적어도 1930년대 "비엔나 서클"의 논리 실증주의가 쇠퇴한 이후로 관찰이 필연적으로 이론에 의해 정보가 제공된다는 것을 출발점으로 삼습니다 (예: Galison 1987; Kuhn 1962; Lakatos 1978). 귀납은 연구에서 중요한 위치를 가질 수 있지만, 그것의 강점은 새로운 이론을 생성하는 데 있지 않습니다.

유추의 논리
The Logic of Abduction

최근 여러 저자들은 근거 이론의 궁극적 목표인 새로운 이론의 구성이 실용주의자 Charles S. Peirce가 "특이한peculiar " 용어로 명명한 유추 abduction 를 요구한다고 주장했습니다 (Peirce 1935:525) (Coffey와 Atkinson 1996; Haig 1995; Kelle 2007; Locke 2007; Reichertz 2007; Strubing 2007). 유추의 라틴어 어원은 "멀어짐"을 시사합니다. 연구의 맥락에서 유추는 놀라운 연구 증거를 바탕으로 새로운 가설과 이론을 생성하는 추론적 창의적 과정입니다. 연구자는 오래된 이론적 통찰에서 새로운 이론적 통찰로 이끌려 갑니다. abduction refers to an inferential creative process of producing new hypotheses and theories based on surprising research evidence. A researcher is led away from old to new theoretical insights.

 

Popper, Reichenbach, Braithwaite와 같은 논리 경험주의 과학 철학자들이 발견과 정당화 간의 명확한 노동 분업을 가정하는 반면 (Siegel 1980 참조), Peirce는 과학적 작업을 "발견"과 "정당화"가 불가분의 순간인 지속적인 행위로 간주했습니다. Peirce는 자연 과학을 모델로 삼았지만, 유추의 기본 논리 모델은 더 넓은 적용 범위를 가집니다. Peirce는 추론을 의미 생성의 행위 내에 위치시켰으며, 논리는 기호학과 불가분의 관계에 있었습니다 logic was inseparable from semiotics. 그의 접근 방식은 "설명 가설을 형성하는 과정"으로서의 유추에 기반했으며 (Peirce 1934:171), 과학 지식 체계에 새로운 아이디어를 도입하는 유일한 논리적 메커니즘입니다. Peirce의 유추 이해는 그의 경력 전반에 걸쳐 진화했지만, 유추를 가설 생산에 관여하는 합성 추론 과정으로 제시하는 핵심 아이디어 세트가 있습니다 (Fann 1970).

 

유추는 귀납과 연역과는 다른 논리적 형태를 가지고 있습니다. 연역적 추론은 규칙에서 시작하여 사례를 통해 관찰된 결과에 도달하며, 이는 규칙을 증명하거나 반박합니다. 따라서 연역의 일반적인 형태는 다음과 같습니다:

  • 모든 A는 B이다.
  • C는 A이다.
  • 따라서 C는 B이다.
    All A are B.
    C is A.
    Thus, C is B.

반면에 귀납은 주어진 사례의 수집에서 시작하여 암시된 결과를 검토하여 일부 보편적 규칙이 작용하고 있음을 추론합니다:

  • 관찰된 모든 A는 C이다.
  • 따라서 모든 A는 C이다.
    All observed A are C.
    Thus, all A are C.

귀납 규칙은 사례의 증가와 함께 확실성을 얻지만, 위에서 언급했듯이 A와 C의 정의 및 그들 간의 연결 자체는 귀납에 의해 설명될 수 없습니다.The inductive rule gains certainty with the multiplication of cases, although, as we noted above, the very definitions of A and C and the connection between them cannot themselves be explained by induction.

 

마지막으로, 유추는 결과에서 시작하여 이유를 구성합니다:
Last, abduction starts with consequences and then constructs reasons:

  • 놀라운 사실 C가 관찰된다.
  • 그러나 A가 사실이라면, C는 당연한 일일 것이다.
  • 따라서 A가 사실일 이유가 있다. (Peirce 1934:117)
    The surprising fact C is observed.
    But if A were true, C would be a matter of course.
    Hence, there is a reason to suspect that A is true.

즉, abduction는 보이지 않는 원인과 결과가 있다는 의미에서, 어떤 현상을 다른 상황에서 이미 경험하고 설명한 다른 현상과 유사하다고 본다는 의미에서, 또는 새로운 일반적인 설명을 만들어낸다는 의미에서 다른 관찰과 관련 있다고 인식하는 추론의 한 형태입니다.

In other words, abduction is the form of reasoning through which we perceive the phenomenon as related to other observations either

  • in the sense that there is a cause and effect hidden from view,
  • in the sense that the phenomenon is seen as similar to other phenomena already experienced and explained in other situations, or
  • in the sense of creating new general descriptions.

유추는 관찰된 사실과 규칙 간의 상황적 적합성을 찾기 때문에 세 가지 논리 중 가장 추측적입니다Abduction is the most conjectural of the three logics because it seeks a situational fit between observed facts and rules.

 

Peirce는 후기 저작에서 유추를 귀납과 연역도 필요로 하는 과학적 탐구의 방법론적 과정의 첫 단계로 간주했습니다 (Fann 1970). "유추는 설명 가설을 형성하는 과정이다. 이는 새로운 아이디어를 도입하는 유일한 논리적 작업이다. 왜냐하면 귀납은 단지 값을 결정할 뿐이며, 연역은 순수 가설의 필연적 결과를 포함할 뿐이기 때문이다 Abduction is the process of forming an explanatory hypothesis. It is the only logical operation which introduces any new ideas; for induction does nothing but determine a value, and deduction merely involves the necessary consequences of a pure hypothesis " (Peirce 1934:171). Peirce의 견해에 따르면, 유추는 과학적 방법의 통합적 과정입니다. 한 번 가설이 형성되면, 연역은 가능한 일반화나 인과적 연쇄를 제공함으로써 가설을 작업합니다. 귀납은 가설의 평가를 구성하며, 이는 연역적으로 묘사된 전제에 부합하는 데이터를 제공합니다. Peirce는 유추가 귀납보다 더 확실성이 낮다고 언급했으며, 두 과정 모두 연역보다 덜 안전하지만, 유추는 혁신적 잠재력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귀납은 이미 형성된 일반 범주에 특수를 그룹화함으로써 분류할 수 있었지만, 유추는 관찰이 속할 설명, 범주를 공식화했습니다. 유추는 설명을 제안하고, 이는 연역으로 공식화되며, 귀납은 경험적 테스트를 통해 이를 확인합니Induction was able to classify only by grouping particulars in a preformed general category, while abduction formulated the explanation, the category into which observations would fall. Abduction suggested explanations, which were then formalized into deductions, while induction confirmed them through empirical testing : "유추는 이론을 찾고, 귀납은 사실을 찾는다 Abduction seeks a theory. Induction seeks for facts " (Peirce 1958:217–18).

 

Peirce의 넓은 추론, 의미, 행동 이론 내에서 사람들은 일상 생활에서 유추를 지속적으로 수행하며, 놀라운 현상에 직면할 때 미래에 대한 기대를 지속적으로 재조정합니다. Peirce는 두 가지 종류의 놀라움을 구분했습니다: 새로운 경험인 참신함과 예상치 못한 경험인 이상 novelty—or a new experience—and anomaly—or an unexpected experience 입니다. 과학에서 놀라운 발견은 설명을 요구합니다. Peirce는 유추 과정을 논리적 추론과 마음이 방황할 때 발생하는 통찰의 번뜩임으로 개념화했습니다 (Reichertz 2007 참조). Peirce는 다음과 같이 말했습니다:

"이는 통찰의 행위이며, 비록 매우 잘못될 수 있는 통찰이지만 그렇습니다. 가설의 다양한 요소는 이미 우리의 마음속에 있었지만, 우리가 결코 함께 상상하지 못했던 것을 함께 결합하는 아이디어가 새로운 제안을 우리의 숙고 앞에 번뜩이게 합니다." (Peirce 1934:181)

 

문제는 좋은 가설을 제시하는 것이 아니라, 어떤 가설을 추구할 가치가 있는지 결정하는 것이었습니다: 무한한 가능성의 우주에서 특정 방향을 선택하는 방법은 무엇입니까?

 

Peirce의 가장 열렬한 지지자들조차도 경쟁 가설 간의 차별을 위한 그의 해결책을 유추에 관한 그의 철학적 저작의 문제적 부분으로 간주했습니다 (예: Anderson 2005; Fann 1970; Paavola 2005; Rescher 1978). Paavola (2005)는 Peirce가 이 질문에 대해 세 가지 종류의 논증을 사용하여 접근했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는 때때로 형이상학적 및 유신론적 논증으로 되돌아갔지만, 대부분의 경우 Peirce는 유추의 자연주의적 기초를 제시했습니다. 즉, 우리가 이미 자연 내에 있기 때문에 우리는 진화 과정을 통해 주변 환경이 실제로 작동하는 방식에 대한 "친화성"을 얻었습니다. William James와 마찬가지로 그는 인간의 마음의 복잡성이 본능의 부족이 아니라 본능의 복잡성을 암시한다고 주장했습니다. Peirce는 그러한 본능을 "긍정적 진리를 향한 선천적 경향"으로 보았습니다 (Peirce 1934:591). 결국, 병아리가 태어날 때부터 "올바른" 곡물을 쪼아 먹는 방법을 안다면, "왜 인간에게만 이 선물이 부정되었다고 생각합니까?" (Peirce 1934:591). Peirce saw an “innate tendency toward a positive truth” (Peirce 1934:591) as such an instinct. After all, if chickens know the “correct” grains to peck at since birth, “why should you think that to man alone this gift is denied” (Peirce 1934:591)?

 

그러나 이러한 매우 문제적인 추론 방식은 Peirce가 사용한 유일한 방식이 아니었습니다. 다른 곳에서 Peirce는 본능을 사람들이 태어날 때부터 가진 경향뿐만 아니라, 사람들이 삶을 통해 발전시키는 경향으로도 고려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이 공식에 따르면, "긍정적 진리를 향한 경향 tendency toward a positive truth "은 Husserl (1960)이 "지각apperceptions "과 "현시appresentations "라고 부르는 사회화된 인식 방식인, 교양 있는 지각적 통찰력cultivated perceptual insight에 의해 보완됩니다. 실제로 Peirce (1934:181)는 "유추적 추론은 지각 판단으로 변모한다 abductive inference shades into perceptual judgments. "고 썼습니다.

 

유추적 분석: 이론의 역할
Abductive Analysis: The Role of Theories

 

Peirce의 유추에 관한 저작은 이론적 혁신을 생각하는 데 신선한 방향을 제공하지만, 유추적 추론의 모호성은 어색하고 비실용적인 조언을 초래합니다 (Levin-Rozalis 2000). 유추를 실용적으로 생성하게 만들기 위해서는 유추적 과정의 출처를 설명하고, 인간과 세계 사이의 자연스러운 친밀감을 배제해야 합니다 (Locke, Golden-Biddle, and Feldman 2008).

 

유추는 연구자가 "손에 들고 있는" 해결책에 의해 형성된 세계에 대한 연속적인 추측 과정으로 이해되어야 합니다 Abduction should be understood as a continuous process of conjecturing about the world that is shaped by the solutions a researcher has “ready-to-hand” (Heidegger [1927] 1996). 우리는 "자연적 본능" 대신에, 사회적으로 길러지고 길러질 수 있는 시각 방식이 유추적 추론의 전제 조건이 된다고 주장합니다. "진리 본능" 대신에 교양 있는 지식을 대체하면, 유추를 이론 구성에 사용할 수 있는 사회적으로 위치한, 위치적 지식으로 개념화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합니다. 또한 연구자가 연구 대상의 세계의 일부라는 사실에서 얻을 수 있는 통찰력을 얻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 세계 속에 존재한다는 것은 진리의 보장과는 거리가 멀고, 부분적이고 역사적으로 위치한 통찰로 이어지며, 과학적 권위와 대표성에 관한 질문을 불러일으키는 핵심 문제입니다 (Atkinson 1990; Marcus and Fischer 1986). 위치성에 관한 풍부한 사회학적 및 인류학적 문헌은 연구자의 전기, 의도, 절차적 원칙을 비판적으로 조사하여 지식이 추출된 위치를 명확히 하는 다양한 형태의 인식론적 책임을 요구해 왔습니다 (Macbeth 2001).

 

질적 연구자의 세계에서의 역할을 조사하는 것은 연구자들이 반응성과 연구 역할을 인식하도록 권장하는 초기 방법론적 접근과 유사합니다 (Adler and Adler 1987; Becker 1967; Hammersley and Atkinson 1983). 자문화기술지 (Ellis 1995), 입장 여성주의 (Smith 2005), 해석적 상호작용주의 (Denzin 2001), 반성적 민족지 (Burawoy 2003), 비판적 인종 민족지 (Collins 1992)와 같은 다양한 질적 연구는 위치성을 방법론의 핵심으로 삼습니다. 위치성에 관한 문헌의 핵심 주장은 매우 간단합니다. 우리는 항상 특정 위치(부모, 학자, 중산층 라티나 등)에 있으며, 이 위치는 (1) 우리가 현장에 부분적으로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 우리와 상호작용하는 방식에 영향을 미치며, (2) 우리가 세상을 인식하는 방식에 깊이 뿌리내린 방법으로 현상을 "사례화"하는 방법을 제공합니다.

 

그러나 이는 고정된 일반적인 정체성 범주에 우선순위를 부여해야 한다는 의미는 아닙니다. 여기서 위험은 이러한 준비된 범주를 사용하여 개인적 및 직업적 삶의 복잡성을 없애고, 자기 고정관념을 만들며, 연구자를 권위를 자만하게 드러내는 방식으로 본질화하는 것입니다 (Brewer 2000; Murphy and Dingwall 2003). 위치는 복잡하고 상황적이며, 명백한 인종-계급-성별 삼중항뿐만 아니라 특정 생애 역사 및 지적 전기도 포함됩니다 (Gross 2009b). 우리는 성별화된 및 인종화된 눈으로 세상을 볼 수 있지만, 우리가 겪은 교육, 우리가 읽은 이론, 우리가 키운 정치적 충성심 등의 이론적 렌즈를 통해서도 세상을 봅니다 (예: Brubaker 1993).

 

따라서 유추는 연구자의 길러진 위치에 의존합니다. 세상과 그 놀라움을 인식하는 성향—즉, 이 세상에서 자신의 위치에 대한 반성까지도 포함하여—은 연구자의 전기와 광범위한 이론적 분야에 대한 친밀감과 친숙함에 달려 있습니다. 따라서 유추적 분석은 연구자가 연구에 가져오는 이론적 배경의 범위와 세련도에 크게 의존합니다. 예기치 않은 놀라운 관찰은 이론적으로 민감한 관찰자가 그들의 잠재적 관련성을 인식할 때 전략적입니다.

Abduction thus depends on the researcher’s cultivated position. The disposition to perceive the world and its surprises—including the very reflection on one’s positions in this world5—is predicated on the researcher’s biography as well as on an affinity and familiarity with broader theoretical fields. Abductive analysis, consequently, rests for a large part on the scope and sophistication of the theoretical background a researcher brings to research. Unanticipated and surprising observations are strategic in the sense that they depend on a theoretically sensitized observer who recognizes their potential relevance.

 

이러한 유추 관점은 근거 이론에서 전통적으로 꺼려왔던 이론적 문헌의 참여로부터 급진적인 전환을 필요로 합니다. This view of abduction necessitates a radical shift from the traditionally reluctant engagement of theoretical literature in grounded theory 새로운 이론을 발견하는 것은 기존 이론적 틀에서 발견을 틀지 못하는 것과 동시에 기존 이론을 새로운 방식으로 수정하고 확장할 수 있는 능력에 달려 있습니다 (James [1907] 1981). 연구 프로젝트의 끝에서 학술 문헌과 교류하는 귀납적 접근 방식과 달리, 유추는 연구의 시작과 매 단계에서 기존 이론에 대한 광범위한 친숙함을 전제로 합니다.Rather than engaging with the scholarly literature at the end of the research project, as inductivist approaches have often advised, abduction assumes extensive familiarity with existing theories at the outset and throughout every research step.

 

그러나 우리는 기존 이론에 기반한 연역으로 돌아가자는 것이 아닙니다. 문헌을 알고 전문적으로 위치하는 것은 통합된 확고한 이론을 검증, 반박, 수정하기 위해 현장에 오는 것과는 거리가 멉니다. 사회학은 Kuhn (1962)의 의미에서 결코 하나의 패러다임적 과학이 아니었습니다. 구조 기능주의의 전성기에도 모든 지식이 맞아떨어지는 하나의 학문적 매트릭스가 존재하지 않았습니다. "이론을 아는 것"은 본질적으로 이론들을 아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론들은 연구에 정보를 제공하는 감각적 개념이지만, 관찰 가능한 발견의 범위를 결정하지 않습니다  “Knowing the theory” means, in essence, knowing the theories. They are sensitizing notions that inform research but do not determine the scope of perceivable findings (Blumer 1954). 연구의 유추 가능성을 풍부하게 하는 것이 목표라면, 이론적 폭넓음이 권장됩니다 (Henwood and Pidgeon 2003). Abbott (2004)가 이론적 논쟁을 휴리스틱 잠재력으로 탐구하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기존 이론들은 논쟁이나 논쟁 방식, 즉 추가적인 이론적 혁신을 촉진할 수 있는 방식으로 읽힙니다.

 

이 논의가 명확히 하듯, 유추는 근거 이론 방법론의 특권과는 거리가 멉니다 As this discussion clarifies, abduction is far from being the privilege of grounded theory methodology . 다른 질적 접근법도 연구자들이 준비되고 잘 읽힌 상태로 현장에 들어가도록 권장해 왔습니다. 유명한 예로, Michael Burawoy (2009)가 재해석한 맨체스터 학교의 확장 사례 방법은 종종 연역적 질적 연구 접근법으로 오해받습니다. Lakatos (1970, 1978)의 작업에서 그 방법의 인식론적 기반을 자세히 살펴보면, 그것도 예기치 않은 발견을 찾고, 이론과 이상한 관찰의 이중 맞춤을 통해 이론적 보호를 창출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Burawoy는 민족지적 관찰을 세계화 사회력의 장에서 위치시키는 마르크스-그람시 접근을 선호합니다. 그러나 그의 일반적인 추세는 유추를 지지하며, 다만 너무 좁은 방식으로 하고 있습니다. 몇몇 관찰자들이 지적했듯이 (Eliasoph and Lichterman 1999; Tavory and Timmermans 2009), 확장 사례 방법은 이미 이론화된 세계에서 시작됩니다. 이야기의 일반적인 윤곽은 잘 정의된 하나의 이론에 의해 제공됩니다. 그러나 우리는 세계가 항상 여러 방식으로 (원형 이론적 및 이론적) 구상된다고 주장합니다. 실제로 그렇지 않다면, 유추와 이론 구성이 상당히 예측 가능해질 것입니다 (Stark 2009; Vedres and Stark 2010). 또한 아래에서 보여주듯이, 확장 사례 방법은 경험적 자료에서 놀라움을 이끌어내기 위한 방법론적 휴리스틱이 부족합니다.

 

이 차이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이론적 불가지론이 우리의 현장 관계와 가설 및 데이터 수집 전술을 어떻게 변화시키는지 주목하는 것 이상을 해야 합니다. "이론"이란 무엇을 의미하는지, 즉 우리의 목표와 현장의 이론적 영감 측면에서 명확히 해야 합니다. 영감 측면에서 우리는 연구자에게 새로운 질문을 할 수 있는 방법이나 세상을 다르게 볼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모든 것이 잠재적으로 유용하다고 주장합니다. 이는 박식한 추상화에서부터 지역 설명 프레임워크 및 개인 경험에 이르기까지 다양합니다 (Strauss 1987). 그런 의미에서 유용한 영감의 유일한 기준은 이론이 새로운 질문을 하거나 새로운 관찰을 가능하게 하는 방식이라는 일반적인 실용주의 지침입니다 In that sense, the only criterion for useful inspiration is the general pragmatist guideline that theories are ways either to ask new questions or to make new observations possible (Dewey 1925; James [1907] 1981).

 

그러나 유추적 분석이 생성하는 이론의 경우, 우리의 기준은 더 좁아야 합니다. 유추적 분석에서 개발된 이론은 특정 경험적 사례에서 세계의 인과적 연결과 설명을 일반화하려는 시도를 나타냅니다 (또한 Abend 2008:177–79; Gross 2009a 참조). 이러한 이론은 관찰과 대안적 이론적 설명에 비추어 그들의 타당성에 의존합니다. 실용적으로 말하자면, 더 나은 이론은 더 많은 현상과 더 다양한 현상을 이해할 수 있게 합니다. 일반화의 형태로서, 이론은 동일한 연구 내에서 사례 간 이동과 연구 간 이동을 가능하게 하며, 특정 일이 일어날 것을 예상하고 특정 사건이 어떻게 그리고 왜 일어났는지 설명할 수 있게 합니다. 유추적 분석은 특히 기존 이론과 대조하여 경험적 발견을 재구성하는 새로운 이론적 통찰을 생성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Abductive analysis specifically aims at generating novel theoretical insights that reframe empirical findings in contrast to existing theories. .

 

"사회학적 이론"의 다른 형태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고전 이론과의 관련성 또는 시대적 세계관의 생산이 있습니다. 이러한 것들은 영감 면에서 유용할 수 있으며, 유추적 추론을 요구할 수도 있지만, 이 추론은 동일한 방식으로 경험적 연구 행위와 반드시 관련되지는 않습니다. 반대편 스펙트럼에서는 변수 목록이나 간단한 설명조차도 관련성에 관한 원형 이론적 가정을 포함하지만 (Weick 1995), 우리가 추구하는 이론은 그들의 주장에 대해 더 명확하게 드러납니다. 그렇지 않으면 모든 형태의 글쓰기는 이론으로 읽힐 수 있습니다.

 

광범위한 이론적 기반의 추가 분석적 가치와 이론 개발에 사용되는 예는 Diane Vaughan의 우주 왕복선 챌린저 발사 결정 및 사고에 관한 역사적 민족지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Vaughan은 다양한 사례 간의 지속적인 비교를 강조한 근거 이론에 매료되었지만, "우리는 항상 어떤 이론, 모델, 또는 개념을 염두에 두고 있습니다"라는 단서를 달아 근거 이론을 사용했습니다 (Vaughan 2004:319). 이미 세 가지 이전 사례 연구를 수행한 Vaughan은 챌린저 사례에 Merton에서 영감을 받은 조직 이론을 사용하여 법 위반에 대한 세 가지 요인의 상호작용을 제안했습니다: 경쟁과 희소성의 힘이 법을 위반하도록 압력을 가하고, 법과 조직 구조 및 과정이 법을 위반할 기회를 제공하며, 규제 구조가 체계적으로 위반을 억제하지 못하는 것 (Vaughan 1983). Vaughan은 다양한 조직 형태에서 자신의 이론을 확장하기 위해 새로운 사례를 선택하여 이론을 더욱 강화할 계획이었습니다. 챌린저 사고에 관한 대통령 위원회의 보고서는 NASA 관리들이 경제적 압력에 따라 위험을 감수한 결정을 내렸다는 초기 인상을 확인하는 것처럼 보였습니다.

 

유추에 관한 우리의 논의에서 중요한 점은 Vaughan이 기존 이론적 도구 (상호작용주의, Bourdieu의 장 이론, 신제도주의 등)와 이전 연구에서 수집한 원래의 종합 및 혁신을 겹쳐 챌린저 사례에 접근했다는 점입니다. 그러나 이러한 도구들은 챌린저 사례에 맞지 않았습니다. Vaughan은 엔지니어와 관리자의 증언에서 부정행위 결론과 모순되는 불일치를 계속 발견했습니다. Vaughan은 결정적인 돌파구를 다음과 같이 설명했습니다:

"이 사례가 부정행위의 예인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나는 다음 전략을 결정했습니다: 내가 정의한 부정행위에는 규칙 위반이 필수적이었습니다. ... 나는 가장 논란이 많은 세 가지 [규칙 위반]을 선택하여 심층 분석을 했습니다. 나는 내가 규칙 위반이라고 생각했던 것들이 NASA 규칙에 완전히 부합하는 행동이라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Vaughan 2004:320)

 

결국 그녀는 데이터를 부정행위가 아닌 조직적으로 발생한 실수로 유추했습니다.
Eventually she abducted her data as an organizationally produced mistake instead of misconduct.

 

Vaughan이 우주 왕복선 재앙의 원인이 실수임을 깨달았을 때, 그녀는 1977년과 1985년 사이의 고체 로켓 부스터에 관한 모든 결정을 재구성하기 시작했습니다. 따라서 이론적 준비는 분석을 위한 더 큰 무기고뿐만 아니라, 분석과 데이터 수집 간의 지속적인 상호작용에서 현장으로 돌아가는 다른 방법론적 전략을 초래했습니다. 신제도주의와 Bourdieu의 습관 개념이 제안한 구조적 위치와 전문성의 중요성은 또한 각 개인의 증언, 인터뷰 데이터 및 역사적 문서에 반영된 행동을 교차 확인하도록 Vaughan을 촉구했습니다. 이는 다시 엔지니어링 및 관리 문화의 전문화에 관한 문헌으로 이어졌습니다. 연구가 끝날 무렵, Vaughan은 NASA 의사 결정 과정을 조직적 순응의 하나로 이론화했습니다. 이는 점진적으로 변화하는 위험 수용 가능성에 대한 지역적 신념이 전문 엔지니어링 및 관리 문화에 내재된 구조적 비밀 유지 환경에서 타협을 가치 있게 여기며, 일탈을 정상화하는 조직적 과정을 창출했습니다 (Vaughan 1996).

 

Vaughan의 프로젝트는 또한 이론적 견고성을 테스트하기 위해 새로운 데이터로 새로운 설명을 연역적으로 확인하는 중요성을 보여줍니다. 일탈된 O-링의 정상화를 설명하는 조직적 과정을 설명한 후, Vaughan은 챌린저 발사 결정을 내린 전화 회의를 상세히 분석했습니다. 통화 중 참가자들은 추운 날씨로 인해 발사를 연기해야 하는지 여부를 논의했습니다. Vaughan은 다음과 같이 관찰했습니다:

"의사 결정 역사에서 일탈의 정상화를 설명한 것과 동일한 요소들이 발사 전날의 의사 결정을 설명했습니다! 문화의 생산, 생산의 문화 및 구조적 비밀 유지가 이전과 같이 함께 작동하여 또 다른 이상—전례 없는 추운 날씨—을 정상화하고, 체계적으로 발사를 진행하기로 결정했습니다. ... 모든 참가자는 생산의 문화 명령에 순응하여 수용 가능한 위험의 경계를 한 번 더 확장했습니다." (Vaughan 2004:337)

 

따라서 Vaughan이 구성한 이론적 분석은 기존 이론에 대한 그녀의 깊은 친숙성에서 생성된 경험적 모순에서 비롯되었습니다. 이 이론적 맥락에서, "또 다른 기술적 실수, 오해된 절차, 예측하지 못한 긴급 상황, 행동 또는 행위자" (Vaughan 1996:335)는 유추적으로 분석을 진행시켰습니다.

유추적 분석: 방법의 역할
Abductive Analysis: The Role of Method

발견과 정당화의 맥락을 하나의 통합된 전체로 본다면, 데이터 수집과 초기 분석의 행위는 유추적 추론을 촉진하는 장소가 됩니다. 견고한 이론적 배경이 있어도 연구 현장에 몰입할 때 이론적 불일치가 자동으로 발생하지는 않습니다. 그러한 이상 현상은 새로운 이론적 통찰을 개발하고 기존 이론을 수정할 기회를 제공하지만, 연구자들은 의심이 발달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야 합니다 (Locke et al. 2008). 이러한 환경은 연구자가 현상을 재방문하는 일련의 사전 설정된 단계, 즉 방법에 달려 있습니다.

 

여기에서 우리는 데이터 분석의 근거 이론적 방법론적 단계를 이론화합니다. 현장 노트 작성, 이론적 표본 추출, 다양한 차원에서의 코딩, 메모 작성, 지속적인 비교, 메모 정렬 및 다이어그램 작성 등의 근거 이론 휴리스틱을 통해 (Charmaz 2006; Strauss 1987), 질적 연구자들은 일련의 지루하고 시간 소모적인 방법론적 순서에 작업을 맡기도록 권장됩니다. 일반적으로 자세한 현장 노트 작성과 정확한 전사는 잘못된 기억과 기억과 소문 연구에서 잘 확립된 경향에 대한 점검 방법으로 이해됩니다. 이는 현장 경험을 이론적 성향이나 우리가 말하고 싶은 이야기 유형에 더 잘 맞추기 위해 소급적으로 수정하는 경향입니다 (Allport and Postman 1947; Schechter 1997). 이러한 의미에서 이러한 단계는 많은 방법론적 지침이 하는 일을 합니다:  우리의 해석에 대한 현상의 저항성을 높입니다. 마찬가지로 코딩과 메모 작성은 데이터를 철저히 익히고, 한 번 페이지에 기록한 상호작용을 잊지 않도록 설계되었습니다. In this sense, these steps do what many methodological guidelines do: They increase the resistance of the phenomenon to our interpretations. Similarly, coding and memo writing are designed to ensure that we thoroughly familiarize ourselves with our data, that we do not forget the interactions we have been privy to once we put them down on the page.

 

이와 같은 방법론적 단계는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수행될 때 원래의 이론적 통찰을 구성하는 휴리스틱으로 작용할 수 있으며, 따라서 유추적 분석의 중요한 부분입니다. 근거 이론 방법이 유추적 분석에 어떻게 도움이 되는지를 개발하기 위해 우리는 연구 과정에서의 인식 문제를 심화시킵니다. 우리가 Peirce의 유추 설명 방식 중 가장 생성적인 것으로 보는 것에 남아, 우리는 세계를 보는 이론적으로 길러진 방식과 유추적 추론 간의 관계에 초점을 맞춥니다. 이론이 처음에는 현상을 사회학적으로 흥미롭게 보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면, 방법은 우리가 동일한 관찰을 다시 방문하고, 알려진 세계를 비익숙화하며, 우리의 관찰에 대안적 틀을 적용하도록 설계되었습니다. Where theories allow us initially to see the phenomenon in sociologically interesting ways, methods are designed to compel us to revisit the same observation again and again, defamiliarize the known world, and apply alternative casings to our observations.

1 현상 재방문
1 Revisiting the Phenomenon

인식은 일반적으로 한 번의 경험으로 취급되지만, 이론 구성의 맥락에서 질적 방법의 중요성은 연구자가 기존 이론적 설명을 바탕으로 연구하는 현상을 재방문할 수 있는 능력에서 비롯됩니다. 관찰의 기록(현장 노트나 인터뷰 전사를 통해)은 잘못된 기억과 인지 편견을 점검하는 방법일 뿐만 아니라, 다양한 이론적 접근을 감각화하는 방법으로 수행됩니다. 현상학적 철학자 Jean-Luc Marion (2002)의 작업을 바탕으로, 우리는 방법이 없어도 현상을 경험하는 것이 첫 번째 만남 후에 단일한 사건으로 개념화되어서는 안 된다고 주장합니다. 대신, Marion의 언어를 사용하여, 인식은 항상 "포화"되어 있습니다. 즉, 현상은 항상 우리의 초기 인식을 넘칩니다 That is, the phenomenon always overflows our initial perception of it . 시간이 지남에 따라 현상에 주목하면서 우리는 경험을 재방문하고, 재방문할 때마다 그것을 다른 방식으로 다시 경험합니다.

 

Marion (2002)이 제시한 "현상의 넘침"에 대한 예 중 하나는 박물관에서 그림을 보는 남자의 예입니다. 그는 방문 도중 그 그림에 대해 다시 생각하고, 다른 방식으로 이해하며, 물리적으로 그 앞에 있을 때 놓친 것들을 보게 됩니다. 다양한 전시물을 둘러보면서 시간적 변화는 상황적 변화를 따르고, 이에 따라 새로운 방식으로 사물을 보는 성향이 생깁니다. 예를 들어, 그는 갑자기 그 그림의 일부 측면이 같은 시기에 그려진 다른 그림들과 많이 닮았다는 것을 깨닫게 될 때, 그 그림을 다르게 다시 경험하게 됩니다.

 

이론적 용어로, 경험을 다시 사는 상황적 특수성은 우리의 인식을 다른 현상과의 새로운 관계에 배치할 수 있게 합니다. 이러한 재방문은 연구자가 인식의 습관화를 깨기 위해 일상적인 경험을 재평가하고 재고하도록 강요하며, 이는 자세한 현장 노트, 전사, 코딩 및 메모 작성으로 강화됩니다. 현장에서 "밝지 않은" 데이터는 종종 반복적인 방법론적 과정을 통해 통찰을 제공합니다. Marion (2002)이 제안한 "포화" 개념으로 돌아가, 방법론적 과정은 동일한 관찰이 다른 시간점에서, 다른 이론적 관점에서 인식될 때 변화하는 방식의 이점을 활용하여 재경험을 위한 장치로 볼 수 있습니다.

2 비익숙화
2 Defamiliarization

Marion (2002)의 포화 개념은 근거 이론 방법론의 또 다른 효과인 비익숙화로 보완됩니다. 비익숙화 문제는 실용주의자들의 습관에 관한 저작에서 다루어졌지만, 그 효과는 러시아 형식주의로 알려진 20세기 초 문학 비평 운동에서 가장 잘 포착되었습니다. 이 운동의 창시자 Victor Shklovsky ([1917] 1965)는 고전 에세이에서 시적 언어가 일상 생활의 언어와 경험을 비익숙화함으로써 그 힘을 얻는다고 주장했습니다. 세밀한 묘사, 은유 사용 또는 단순히 시에서의 비자연적인 줄 바꿈을 통해 우리는 일상 경험을 낯설게 대하게 되며, 이를 더 깊이 이해하거나 새롭게 생각하게 됩니다. 우리의 경험의 배경으로 밀려난 객체들은 두 번째로 생각할 여지가 없었기 때문에, 갑자기 가능한 초점이 됩니다. 이 논리는 Brecht (1974)가 채택한 "소외" 기법이 되었고, Peter Berger (1963)의 작업에서 사회학의 대상이 되었습니다. Berger는 사회학이 우리의 사회 생활 이해를 풍부하게 하는 방법 중 하나는 익숙한 것을 소외시키는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방법론적 순서 전반에 걸쳐 기록 행위는 이러한 비익숙화 기법으로 작동합니다 The act of inscription throughout the methodological sequence functions as such a technique of defamiliarization. 인류학자 Jack Goody (1977)가 더 넓게 지적했듯이, 우리는 실제로 비문자적 방식보다 문자적 방식으로 참여할 때 다르게 생각합니다. 기록된 텍스트는 비문자적 설명에서 간과했을 것들을 문제화하고 구체화합니다. 특정 유사점, 논리적 오류, 목록 및 세부 비교가 지적 기술로서 가능해집니다. 경험의 기록을 즉시성의 상실로 애도하기보다는, 유추적 분석은 우리가 즉시 경험에서 간과하는 기회와 사고 방식을 제공하는 다른—비익숙화된—대상을 만듭니다. 따라서 비익숙화는 연구자가 데이터에 다시 방문하여 유추적 추론의 풍요로움을 증가시키는 능력을 향상시킵니다. 재방문이 시간 경과에 따른 관련성 변화에 분석적으로 의존하는 반면, 기록의 인위성은 연구자가 당연하게 여기는 것에서 의미론적 거리를 만들 수 있게 합니다. Defamiliarization thus augments the researcher’s ability to revisit the data in ways that increase the fecundity of abductive reasoning. Whereas revisits are analytically dependent on shifting relevancies over time, the artificiality of inscription allows the researcher to create semantic distance from the taken for granted.

3 대안적 사례화
3 Alternative Casing

이론 구성에 대한 표준화된 프로토콜은 없지만, 재방문과 비익숙화의 보완적 과정은 유추 가능성을 극대화합니다. 비익숙화는 우리가 당연하게 여겼던 측면을 숙고하도록 보장하고, 재방문은 우리가 동일한 관찰을 초상황적으로 다시 돌아가도록 합니다. Defamiliarization ensures that we mull over aspects we took for granted, and revisiting allows us to return to the same observation transsituationally.  이러한 과정이 기존 이론의 맥락에서 이루어지면, 우리는 진행 중에 데이터를 다양한 이론적 방식으로 "사례화"할 수 있습니다 (Ragin and Becker 1992; Tavory and Timmermans 2009). 실질적으로 연구자들은 코딩과 메모 작성에서 다양한 개념적 및 이론적 틀을 통해 데이터를 생각해야 합니다. 그들은 상대적으로 작은 데이터 발췌문을 선택하고, 이론적 전문 지식을 바탕으로 데이터를 이해할 수 있는 가능한 모든 방법을 찾으려고 노력해야 합니다. Abbott (1988)의 직업 시스템 이론, Heimer (Heimer and Staffen 1998)의 책임 조직 이론, 또는 Suchman (2007)의 상황적 행동 이론에서 데이터는 어떻게 보일까요? 각 사례화는 현상의 다른 측면을 추상화하고 강조하며, 다른 현상과 비교 가능하게 만들고, 이를 일반화하여 다른 분야와 이론에 연결할 수 있게 합니다.

 

현상에 대한 우리의 인식은 이론적 공식에 의해 색채를 띠기 때문에 이러한 사례 중 일부는 기존 이론의 영역에 쉽게 속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다른 케이스는 더 적응하기 어려울 수도 있습니다. 우리가 익히 알고 있는 문헌이 분석 과정을 안내하고 재검토와 재구성을 가치 있게 만들지만, 현실은 신중한 코딩을 통해 데이터에 이론을 적용하는 것이 그렇게 분명하지 않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Winship(2006)이 공공 정책 결정의 맥락에서 언급했듯이, 결정은 종종 상황의 여러 측면을 만지작거리며 수수께끼를 푸는 과정에서 나옵니다. 신중한 코딩은 거의 필연적으로 개념, 프로세스, 이론적 연결고리에 대한 추가 정의와 조작을 요구하며, 당면한 퍼즐에 놀라운 조각을 추가합니다.7  Careful coding almost inevitably requires further definition and operationalization of concepts, processes, and theoretical links, adding surprising pieces to the puzzle at hand.7  따라서 현장 노트와 코딩은 다른 가능한 사례가 없다고 생각하더라도 현상에 머물면서 이론적 지식에 비추어 가능한 한 많은 연결고리와 가설을 형성하도록 노력하는 납득적 분석을 극대화하도록 설계된 과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비결은 데이터를 한 단어, 한 줄, 한 단락씩 계속 분석하여 "관찰된 사실에 대한 우리의 기억을 뒤집는 것"입니다 The trick is to continue analyzing the data word by word, line by line, paragraph by paragraph, to “turn over our recollection of observed facts”  . 종종 데이터를 통해 퍼즐을 맞추는 과정은 새로운 퍼즐을 만들 뿐만 아니라 서로 다른 조각 사이의 관계를 생각하는 새로운 규칙을 가진 새로운 게임을 구성할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귀납에서 유추로 전환하려면 경험적 퍼즐을 설정하는 방법으로 이론적 배경이 전경화되는 게슈탈트 전환이 필요합니다 The switch from induction to abduction thus requires a gestalt switch in which the theoretical background is foregrounded as a way to set up empirical puzzles (Adler와 Adler 2009). 납치 추론을 자극하는 이러한 대체 사례에 대한 휴리스틱은 근거 이론 방법론과 이론 구성에 관심이 있는 다른 사회학자들의 핵심입니다(Abbott 2004, Becker 1998, Corbin and Strauss 2008, Strauss 1987, Vaughan 1992). 예를 들어, '지속적인 비교'를 통해 이론의 범위를 확장하는 것은 에버렛 휴즈([1945] 1971)의 연구에서와 같이 근거 이론에서 중요한 전략입니다. 이 휴리스틱의 목적은 새로운 데이터 발췌본을 개발 중인 개념과 비교하여 신흥 이론에 부합할 것으로 예상되는 사례를 조사하고 이론이 그 변이를 설명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입니다. 인식 문제는 병원에서 죽어가는 환자에게만 해당되는 문제인가, 아니면 학교나 교도소와 같은 다른 기관에서도 자신의 지위에 대한 유사한 상호 작용 문제가 나타나는가(Glaser and Strauss 1965)? Snow 등(2003)은 Vaughan(2004, 유추적 이론화)과 유사하게 다양한 맥락에서 반복되는 이론적 '형태'에 초점을 맞춘 심멜리안 프로젝트에서 비교를 통해 이론 확장을 위한 이러한 종류의 휴리스틱을 찾았습니다(Zerubavel 1980 참조). 이 휴리스틱의 목표는 정확히 연구자가 데이터를 다시 생각하게 하고, 다양한 사례에 비추어 보고, 가능한 한 다양한 방식으로 사례화하도록 하는 것입니다. 물론 비교 그룹의 선택은 연구자의 연구 및 이론에 대한 친숙도에 따라 달라집니다. 그러나 이러한 휴리스틱은 연구자가 의식적으로 문헌에서 가져온 다른 사례에 비추어 관찰을 사례화하고, 관찰을 다른 사례의 일부로 재경험하려는 지속적인 시도와 결합하여 관찰의 낯설게 하도록 합니다. 

 

두 응급실의 소생 노력에 대한 스테판 티머만스(1999a, 1999b)의 연구는 이론에 근거한 방법이 이론의 추상적 구성을 가능하게 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예입니다.8 티머만스 연구에서 경험적 퍼즐 중 하나는 응급실 직원이 소생 노력 중 생명을 구하기 위해 헌신하는 정도에 엄청난 차이가 있다는 것이었습니다. 본의 사례에서와 마찬가지로 이러한 차이에 대한 공식적인 설명이 있었습니다: 응급 의학에서는 생명을 구하는 노력은 활력징후의 존재 여부에 달려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공식적인 설명은 실제 관찰된 소생 노력의 현실과는 달랐습니다. 어떤 상황에서는 의료진이 환자의 맥박을 되살리고 싶어 하지 않는 것처럼 보였지만, 다른 환자에서는 사망 징후가 분명한데도 소생술을 계속하는 경우도 있었습니다. "근거 이론 전통"(Timmermans 1999b:211)에 따라 경험적 데이터를 코딩한 결과 환자, 직원, 조직의 다양한 특성에 따라 환자를 소생시키려는 의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명확한 정리 원칙은 눈에 띄지 않았습니다.

 

병원에서의 죽음에 관한 Sudnow(1967)의 연구, Passing On을 읽으면서 데이터를 다시 살펴본 후에야 응급실에서의 변화가 이론적으로 주목받게 되었습니다. Sudnow는 병원에서의 죽음이 기관별 도덕적 평가에서 환자의 지위에 달려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특정 두드러진 환자 특성은 추정되는 '사회적 가치'에 더해지며, 직원들은 이 도덕적 위계에서 환자의 위치에 대한 평가에 따라 다르게 상호작용합니다. Sudnow를 읽던 중 응급실 직원과의 인터뷰를 필사하던 Timmermans는 한 간호사가 젊은 사람, 심지어 유언장이 있는 사람이라도 소생시키겠다는 말을 우연히 듣고 "제게는 자살을 수동적으로 공격적인 방식으로 말하는 것과 같기 때문"이라고 말한 것에 충격을 받았습니다. 젊은 사람의 생전 유언장과 자살 충동을 동일시하는 것에 당황한 팀머먼스는 문득 그 차이에 조직적인 원리가 있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젊은 환자, 직원에게 잘 알려진 환자 또는 직원과 친분이 있는 환자는 적극적인 소생술을 시도할 가능성이 높은 반면, 약물 남용 병력이 있는 환자나 고령 환자는 그 반대의 결과를 낳았다는 것입니다. 이러한 새로운 이론적 인사이트에 비추어 현장 기록을 다시 한 번 주의 깊게 코딩한 결과, 소생 열정의 핵심 요소는 환자가 익명성을 초월할 수 있는 능력이라는 사실이 밝혀졌습니다.

 

그러나 지난 30년 동안 미국 의료의 모든 측면이 급격하게 변화했기 때문에 Sudnow의 통찰력을 현재 상황에 그대로 적용하는 것은 불만족스러웠습니다. 서드나우의 이론은 티머먼스 연구 결과의 특수성을 돋보이게 하고 관찰의 역사성을 간과하지 않기 위해 추가적인 이론적 발전이 필요했습니다. 이 새로운 역사적 시점에서 인격의 형태가 어떻게 중요한지를 포착하기 위해, 팀머먼스는 Sudnow의 핵심 개념인 '사회적 가치'를 '사회적 생존 가능성'으로 대체하여 현재의 구성에서 도덕적 가치의 체계적 구성뿐만 아니라 도덕적 계산이 첨부되어 응급실에서의 행동이 구할 가치가 있는 생명에 대한 집단적 평가를 중심으로 한 일종의 '배급'을 반영한다는 점을 강조했습니다(Timmermans 1999a). 소생술에 대한 직원의 노력을 예측하는 지표로서 사회적 생존력의 지속성에 대한 이러한 통찰은 제도적 요인에 중점을 두었던 Sudnow의 강조점을 전문적 능력에 초점을 맞춘 분석으로 전환하고 의료의 사회적 배급에 대한 더 광범위한 이론에 영향을 미쳤습니다(Timmermans 1999a).

 

팀머먼스의 연구는 또한 소생 노력에 대한 관찰과 소생에 대한 공식적인 설명을 대조함으로써 방법론적 탈명예화 과정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합니다. 소생술의 근거는 생명을 구하기 위한 최후의 수단입니다. 응급실에서 사례별로 보면 생명을 구한 사례는 거의 없습니다. 기껏해야 의료진이 일부 환자를 안정시키고 중환자실로 옮기는 데 성공했을 뿐입니다. 그러나 직원들은 공식적인 성공이 없었다는 사실에 개의치 않는 듯했습니다. 그들은 소생술을 원활하게 진행하거나 가족들의 요구에 세심하게 대응했을 때 스스로를 축하했습니다. 현장 기록에서 팀머먼스는 환자가 생존하지 못한 거의 모든 상황에서 직원들이 사망한 환자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행동이 의학적, 도덕적으로 옳았다고 생각하는 것을 관찰했습니다. 그 후 팀머먼스는 소생술 과정에서 나눈 대화를 정확히 기록하기로 결심하고 일상적인 농담, TV 프로그램에 대한 농담, 인력 배치 및 물품에 대한 논의, 주말 계획이나 따라잡기 대화, 직원에 대한 놀림 등을 기록했습니다. 하지만 친척들이 고인을 추모하기 위해 들어오면서 분위기는 극적으로 바뀌었습니다. 남은 직원들은 친척들과 정중하게 인사를 나누며 작별인사를 나눴습니다. 이렇게 녹취된 대화는 고인의 명예를 훼손했을 뿐만 아니라 소생이라는 공식적인 목적도 무너뜨렸습니다. 팀머먼스는 반전을 제안했습니다. 실제로 소생술은 생명을 구하는 것이 아니라 돌연사를 '구하는' 것입니다. 소생술은 예기치 못한 갑작스러운 죽음의 충격에서 벗어나고, 가족들에게 의학적으로 할 수 있는 모든 노력을 다했다는 위안을 줄 수 있습니다. 익숙하지 않은 죽음은 죽음과 임종, 의료 기술, 과학 연구, 노동 사회학에 대한 더 깊은 참여로 이어졌습니다(Timmermans 1999b).

 

유추적 연구 사이클
The Abductive Research Cycle

유추적 분석은 데이터와 이론을 이중으로 맞추는 반복적 과정을 포함합니다 Abductive analysis involves a recursive process of double-fitting data and theories. 유추적 추론은 이상 현상이나 예상치 못한 발견이 발생할 때 기존 이론과 데이터 간의 상호작용을 바탕으로 예비 추측을 하는 것입니다. 기존 이론이 경험적 현상을 완전히 설명할 수 있다면, 연구자는 기존 이론을 단순히 검증한 것입니다. 그러나 Vaughan과 Timmermans의 사례가 보여주듯이, 데이터를 기존 이론에 대항하여 밀어붙이면 변화된 상황, 추가 차원 또는 잘못된 선입견을 식별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pushing the data against existing theories will likely identify changed circumstances, additional dimensions, or misguided preconceptions.. 경험적이면서도 이론적인 이상 현상은 집중적인 코딩과 기타 방법론적 단계를 통해 이 데이터를 귀납적으로 개념화하여 구축된 임시 새로운 이론의 개발을 필요로 합니다. 따라서 한 가지 놀라움이 더 이상 맞지 않는 다른 요소들을 제안하는 가능한 유추의 반복적인 계단식 과정이 있습니다 Anomalies, which are inevitably both empirical and theoretical, then require the development of tentative new theories built on inductive conceptualization of this data through intensive coding and other methodological steps. There is thus a recursive cascading of possible abductions in which one surprise suggests other elements that no longer fit  (Agar 2006).

 

유추적 분석의 반복적 측면은 두 가지 보완적인 방식으로 이해되어야 합니다. 첫째, 연구를 연구 공동체와 공유하는 것은 이론적 구성의 명확화와 정교화를 촉진합니다 (Strauss 1987 참조). First, sharing research among a community of inquiry stimulates the articulation and refinement of theoretical constructs 협력 관계를 개발하고, 다른 학자들과 대화하고, 학회와 콜로키움에서 발표하고, 작업 논문을 순환하는 등의 활동은 이론 생산의 중요한 장소입니다. 창의적 이론 개발은 무작위로 발생하지 않으며, 종종 야망을 억제하는 넓은 지적 환경에서 주변적 구조적 위치를 차지하는 것으로 시작됩니다 (Becker 1982; Collins 1987; Farrell 2001). Collins는 "생각은 가상의 청중과의 대화"라고 관찰했으며, 창의성이 고립된 지식인과 관련되는 대신, "높은 수준의 지적 창의성은 기존 또는 예상되는 지적 청중을 현실적으로 상상하는 것"에서 비롯된다고 강조했습니다 (Collins 1987:67). 동료 학자들의 작은 협력적 서클에서 아이디어를 교환하는 강렬한 대면 상호작용은 이러한 가상의 청중의 진실성을 높입니다 (Farrell 2001). 지원 외에도, 이러한 협력은 의도적으로 새로운 이론적 프로그램을 추구하고 조직하는 연구 윤리를 다듬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Heilbron 2011).

 

연구 협력체에서는 합의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David Stark (Stark 2009; Vedres and Stark 2010)가 주장했듯이, 혁신은 종종 두 개 이상의 기준이 작용하는 곳에서 발생합니다—두 개 이상의 가치 체계가 있습니다 (Boltanski and Thevenot 2006). 실제로, 혁신은 종종 판단 간의 긴장과 회원들의 전문적 및 지적 충성도의 겹치는 구조에서 발생합니다. 이는 여러 가지 방법으로 데이터를 사례화할 수 있는 고독한 연구자의 수준에서도 마찬가지일 수 있습니다. 그러나 Stark가 올바르게 지적했듯이, 혁신은 여러 가치 체계에 동시에 충성하는 "다중 내부자" 동료 간의 논쟁과 토론에서 더 자주 발생합니다.

 

둘째, 유추적 분석은 새로운 이상 현상이 나타날 때 귀납적 및 연역적 추론 형태를 활성화합니다 Second, abductive analysis further jump-starts both inductive and deductive forms of reasoning, which may be repeated as new anomalous findings emerge . 귀납은 데이터에서 일반화, 패턴, 외부 값 및 중요한 주제를 입증하려고 하고, 연역은 기존 데이터의 재분석이나 새로운 데이터 수집 라운드를 제안합니다. 이론의 입증과 새로운 데이터 포인트가 새롭게 떠오르는 주장을 정교화하는 "내부 반증" 과정은 새로운 이론이 적용되는 경험적 현상의 범위를 좁히고, 이론적 범위를 재구성하여 이론적으로 "모아" 함께 묶는 경험적 현상 클러스터에 더 잘 맞도록 조정함으로써 발생합니다 (Katz 2001a). 결과는 데이터와 기존 및 새로운 개념화의 혼합 간의 반복적 대화 (은유적 및 문자적)에서 유추적 분석을 통해 나타나는 새로운 이론이 될 것입니다.

 

유추적 분석의 반복적이고 반복적인 특성은 이론적 실마리를 생성하고 추려내는 역할도 합니다. The recursive and iterative nature of abductive analysis not only generates but also culls and narrows possible theoretical leads.  일부 유추는 생산적이지만, 이론 구성으로 이어지는 좋은 아이디어보다 많은 막다른 길과 잘못된 출발이 더 많습니다. 유추적 원형 이론의 제거는 "이론적 코딩" 과정을 통해 이루어지며, 이는 Znaniecki (1934)와 다른 사람들 (Katz 2001a)이 "분석적 귀납"이라고 부르는 것과 많은 공통점을 공유합니다. 여기에서 연구자는 떠오르는 유추적 가설을 테스트하여 설명할 현상과 이를 설명하는 이론적 틀 간의 "적합성"을 더욱 형성하려고 시도합니다. 연구자는 설명할 현상을 점진적으로 재정의하여 설명적 이론적 요인에 맞도록 하기 위해 관련 현상과 함께 부정적인 사례를 의도적으로 수집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확인 사례를 수집하는 데는 방법론적 가치가 거의 없으며, 현상을 설명하기 위한 부정적 사례나 대안적 설명을 찾는 것이 전략입니다 Researchers deliberately aim to gather negative cases with related phenomena to progressively redefine the phenomenon to be explained to make it fit the explanatory theoretical factors. There is little methodological value in gathering confirming cases; the strategy is to look for negative cases or alternative explanations to account for the phenomena . 설명할 현상과 이를 설명하는 이론적 틀은 다듬고 정제되기도 하지만 때로는 다른 사례화를 위해 버려지기도 하며, 종종 한 번에 하나 이상의 사례화가 염두에 있습니다 (Lakatos 1970 참조).

결론

유추적 분석은 길러진 이론적 민감성과 방법론적 휴리스틱의 변증법을 통해 창의적이고 새로운 이론적 통찰을 생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질적 데이터 분석 접근 방식입니다 Abductive analysis is a qualitative data analysis approach aimed at generating creative and novel theoretical insights through a dialectic of cultivated theoretical sensitivity and methodological heuristics.  . 유추적 분석은 연구 프로젝트 동안 모든 선입견을 제쳐두는 대신, 연구자는 가능한 가장 깊고 광범위한 이론적 기반을 가지고 현장에 들어가야 하며, 연구 과정 전반에 걸쳐 자신의 이론적 레퍼토리를 개발해야 한다고 강조합니다. 이론적 관련성은 유추에 국한되지 않고, 새로운 통찰을 자극하는 이론과 가까운 글쓰기와 먼 글쓰기에서 번성합니다. 데이터에서 이론이 출현하는 대신, 새로운 개념이 당황스러운 경험적 자료를 설명하기 위해 개발됩니다 Theoretical relevancy is not limited to analogy but flourishes with theory-close and -far writings that inspire novel insights. Instead of theories emerging from data, new concepts are developed to account for puzzling empirical materials. . 근거 이론의 방법론적 원칙은 이론적 지식을 바탕으로 재방문, 비익숙화, 대안적 사례화를 통해 유추적 추론을 자극할 수 있습니다. 새로운 이론을 유발할 수 있는 놀라움, 퍼즐, 또는 이상 현상은 길러진 이론적 전문 지식을 배경으로 한 신중한 데이터 분석을 통해 방법론적으로 나타납니다.

 

우리는 근거 이론 연구 공동체 내외부에서 다양한 반응을 예상합니다. 외부 사람들은 다음과 같은 반응을 보일 것입니다: "물론 모든 질적 연구는 이론 주도이며, 이론 구성은 강력한 기반 없이는 불가능합니다. 이것이 바로 '비근거 nongrounded ' 이론가들이 그동안 주장해온 것입니다." 우리는 질적 연구를 안내하는 강력한 이론적 기반을 주장하지만, 우리가 연구에서 기존 이론을 사용하는 방식은 다른 질적 데이터 분석 형태와 두 가지 방식에서 다릅니다.

  • 첫째, 이러한 접근법은—예를 들어, 제도적 민족지 또는 확장 사례 방법—의도적으로 방법론적 "요리책"을 피합니다. 이는 방법과 거친 경험주의를 숭배할 우려가 있기 때문입니다. 대신, 그들은 연구자를 특권적 이론적 데이터 포인트나 이론을 구체화하고 수정하는 특정 휴리스틱으로 안내합니다. 유추적 분석의 매력은 기존 이론과 신중한 방법론적 단계와의 이중 참여를 통해 이론적 혁신을 유발한다는 것입니다 The attraction of abductive analysis is that it elicits theoretical innovations precisely through a double engagement with existing theory and careful methodological steps. 이론 없는 작업의 신화는 근거 이론의 목표에 해로웠지만, 질적 분석에서 명시적 방법론 없이 이론을 구성하는 것은 선입견만 추구할 위험이 있습니다.
  • 둘째, 이러한 접근법은 사회학자가 현장에 "선호하는 이론" (Burawoy 1998:16)을 염두에 두고 접근하도록 제안합니다. 우리는 이 기사를 통해 이 접근법이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광범위하게 논의했습니다. 다양한 이론화와의 데이터 참여를 통해 유추의 가능성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습니다.

 

반대편 스펙트럼에서는 근거 이론 공동체 내 일부 사람들이 유도 귀납의 가장 소중한 측면을 경시한다고 항의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현실은 이론 엔진으로서의 귀납적 근거 이론은 철학적으로 실행 불가능하다는 것입니다. 반세기 동안 시도했지만, 근거 이론은 이론적 참신성을 거의 보여주지 못했습니다On the other side of the spectrum, some within the grounded theory community may protest against downplaying what for many has been the most cherished aspect of grounded theory, namely, induction. The reality is, however, that inductive grounded theory as theory-engine is philosophically untenable. After half a century of trying, grounded theory has very little theoretical novelty to showcase. . 예외 없이, 최고의 질적 연구는 다양한 문헌에 깊이 빠져있으며, 이 문헌에 기여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또한 예외 없이, 가장 성공적인 질적 연구자들은 실질적인 사회학 이론의 열렬한 소비자이며, 연구의 기준점으로 그들의 독서를 사용합니다 (Becker 1998; Wilson and Chadda 2009 참조). 현재의 학문을 고려하지 않는 것은 무지뿐만 아니라 잘 개발된 영역의 재발견 위험도 있습니다.

 

abduction과 기존 문헌 및 분석 방법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이론 구성은 데이터 및 관련 이론 구성 사례에 대한 반복적 인 노출과 긴밀한 참여를 통해 개발 된 기술임을 시사합니다. 베커(1982)의 예술 세계, 머튼의 우연성 패턴(머튼과 바버 2006: 230-98), 상호작용 그룹에 근거 이론을 가르치는 글레이저와 스트라우스의 교육적 초점(모스 외. 2009; 스타 1997; 스트라우스 1987)처럼 이 기술은 연구자 네트워크에서 이론적 아이디어를 교환하는 환원 불가능한 사회적 요소를 포함하고 있기도 합니다. 이런 의미에서 이론 구성에 대한 우리의 접근 방식은 Chambliss의(1989, 2009) 경쟁적 수영 선수에 대한 분석과 유사합니다. Chambliss가 보여준 것처럼, 경쟁적인 운동선수가 되는 것은 운동선수의 이미지와는 거리가 먼 일상적인 루틴에 달려 있습니다. 최고의 수영 선수가 되려면 신체적 장비, 사회적 지원, 그리고 세밀하고 체계적인 연습이 필요합니다. 챔블리스에 따르면, 운동 능력은 육체적인 출발점이 아니라 세심한 연습과 일상적인 루틴, 소셜 네트워크, '문화적 자본', 심지어 끈기와 같이 일시적으로 보이는 자질에 따라 달라지는 고된 노력의 결과물입니다. 다른 모든 기술과 마찬가지로 이론의 생산을 가능하게 하거나 방해할 수 있는 유리한 가능성 조건이 있습니다. abduction이 가능한 것은 바로 이러한 사회적으로 조장된 공예와 같은 의미에서입니다. Like any craft, there are favorable conditions of possibility—conditions that can enable or obstruct the production of theory. It is in this socially fostered craftlike sense that abduction is feasible.

 

우리의 접근 방식은 질적 연구자들에게 광범위한 이론과 방법론 교육을 필요로 하지만, 우리는 혁신을 이끌어낼 가능성이 가장 높은 이론의 종류(Abend 2008), 그러한 이론의 구성 요소(Vaughan 2009), 이론 구성의 범위 조건(Walker and Cohen 1985), 성공적인 새로운 이론의 기준(Weick 1995)에 대해 유연하게 접근해왔습니다. 대신, 우리는 연구 실무에서 더 구체화할 필요가 있는 이론 발견을 위한 적응 가능한 논리를 명확히 했습니다. 우리의 관점에서 볼 때, 문제는 우리가 어떤 종류의 이론으로 시작하는가(경험적 근거가 있고 영감을 주는 가치가 있다면)가 아니라 연구 프로젝트를 설계하고 수행하는 작업에 있습니다. 질적 연구를 통해 이론을 구축하려면 실질적인 주제를 여러 이론과 개념적으로 연결하는 정교한 연구 설계가 필요합니다. 우리가 현장에 접근하는 이론은 이러한 연구 설계의 세부 사항에 영향을 미칩니다. 동시에 연구 설계는 abductive 추론을 자극하는 놀라움과 경험적 도전에 대한 개방성을 필요로 합니다. 따라서 과제는 "준비되지 않은 채로 받아들여질 수 있는 준비 상태"를 만드는 것입니다 At the same time, the research design requires an opening for the surprises and empirical challenges that stimulate abductive reasoning. The challenge, then, is to create “a state of preparedness for being taken unprepared”  (라이허츠 2007: 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