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읽기 (with ChatGPT)

정보기반 근거이론 (Informed Grounded Theory)

Meded. 2025. 2. 25. 04:35

 

📌 정보기반 근거이론(Informed Grounded Theory): 기존 이론을 활용하는 새로운 GT 접근법

안녕하세요! 오늘은 **Robert Thornberg(2012)**의 논문 Informed Grounded Theory를 쉽게 풀어보려고 합니다.
Grounded Theory(근거이론, GT)를 공부하거나 연구에 적용하려는 분들에게 유용한 내용이 될 것 같습니다.


🎯 근거이론(Grounded Theory)이란?

근거이론(GT)은 데이터에서 이론을 만들어내는 연구 방법입니다.
즉, 연구자가 사전에 특정 이론을 정해두고 검증하는 것이 아니라, 데이터를 분석하면서 패턴과 개념을 찾아 이론을 형성하는 과정을 강조합니다.

📌 GT의 핵심 특징
✔ 데이터를 기반으로 이론을 도출함
✔ 기존 이론에 얽매이지 않음
✔ 연구자가 연구 과정에서 개방적인 태도를 유지함

GT는 **Glaser와 Strauss(1967)**가 처음 개발한 이후 다양한 버전으로 발전하였습니다.
그중에서도 **고전적 GT(Classic GT)**는 연구자가 기존 문헌을 분석이 끝날 때까지 읽지 말아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이유는 기존 이론이 연구자의 사고를 제한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정말 문헌을 보지 않고 연구하는 것이 가능할까요? 🤔
이 질문에 대한 답을 제시하는 것이 바로 *정보기반 근거이론(Informed GT)*입니다!


📖 기존 GT의 문제점: 문헌을 배제하는 것이 정말 좋을까?

고전적 GT는 순수 귀납적(pure induction) 접근을 강조합니다.
즉, 연구자가 완전히 백지 상태에서 데이터를 분석해야 한다는 원칙입니다.
하지만 Thornberg는 이 접근법이 여러 가지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고 지적합니다.

💡 GT에서 문헌 검토를 미루는 것의 문제점
1️⃣ 연구자는 이미 사전 지식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완전히 '백지 상태'가 될 수 없음
2️⃣ 기존 연구를 무시하면 유용한 개념이나 이론을 놓칠 위험이 있음
3️⃣ 연구 기획 단계에서 연구비 신청이나 윤리 심사를 받으려면 문헌 검토가 필수적임
4️⃣ 기존 연구를 활용하지 않으면 연구가 ‘새로운 것’처럼 보일 뿐, 실제로는 이미 알려진 내용을 반복할 수도 있음
5️⃣ 연구자가 이론적으로 얼마나 개방적인지에 따라 연구 결과가 달라질 수 있음

즉, 기존 문헌을 배제하는 것이 연구의 순수성을 보장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연구의 질을 떨어뜨릴 가능성이 높다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기존 문헌을 어떻게 활용해야 할까요? 🤔


🛠️ 정보기반 근거이론(Informed GT): 새로운 접근법

Thornberg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보기반 근거이론(Informed GT)**을 제안합니다.
이 접근법은 기존 이론을 무조건 배제하지 않고, 연구에 도움을 주는 방식으로 활용하자는 것입니다.

📌 Informed GT의 핵심 원칙
✔ 기존 문헌을 유연하게 사용하되, 데이터를 중심으로 분석함
✔ 연구자가 다양한 이론을 비교하고 비판적으로 검토함
✔ 연구 과정에서 문헌 검토를 점진적으로 수행하며 필요할 때 추가함
✔ 기존 개념을 무조건 따르지 않고, 데이터를 통해 수정하거나 발전시킴

즉, 문헌을 연구자의 창의적 사고를 돕는 도구로 활용하자는 것입니다!
하지만 데이터를 분석하는 과정에서 기존 이론을 무비판적으로 받아들이지 않고, 연구자가 능동적으로 해석해야 한다는 점이 중요합니다.


🕵️‍♂️ 유추적 사고(Abduction): 연구자는 셜록 홈즈가 되어야 한다?

이 논문에서 Thornberg는 연구자가 셜록 홈즈처럼 사고해야 한다고 말합니다.
셜록 홈즈는 단서를 모아 가장 적절한 설명을 찾아가는 방식으로 사건을 해결합니다.
이것이 바로 **유추적 사고(Abductive Reasoning)**입니다.

💡 유추적 사고란?

  • 연구자가 데이터를 보고 기존 이론을 참고하며 가장 그럴듯한 설명을 찾아가는 과정
  • 귀납(induction, 데이터에서 이론을 생성)과 연역(deduction, 기존 이론을 검증)의 중간 단계
  • 연구 과정에서 끊임없이 데이터와 이론을 비교하고 조정하는 방식

📌 쉽게 말하면?
✔ 처음에는 데이터를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
✔ 연구를 하면서 기존 이론과 비교하고 조정
✔ 연구자가 가장 타당한 설명을 만들어가는 과정

Thornberg는 연구자가 완전히 백지 상태에서 연구하는 것이 아니라, 데이터를 중심으로 기존 이론을 참고하며 유연하게 사고해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 마무리: Informed GT가 주는 교훈

Thornberg의 Informed Grounded Theory는 GT 연구에서 기존 문헌을 활용하는 새로운 접근법을 제안합니다.
연구자가 문헌을 완전히 배제할 필요는 없지만, 그렇다고 맹목적으로 따르는 것도 좋지 않습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데이터를 중심으로 연구하되, 기존 이론을 비판적으로 활용하는 태도입니다.

📌 오늘의 핵심 정리
✔ 기존 GT의 문헌 검토 지연 원칙은 비현실적일 수 있음
✔ 기존 연구를 활용하면 연구자가 더 나은 설명을 만들 수 있음
✔ 연구 과정에서 데이터와 기존 이론을 유연하게 오가며 분석하는 것이 중요함
✔ 연구자는 셜록 홈즈처럼 유추적 사고를 활용하여 패턴과 의미를 찾아야 함
✔ Informed GT는 문헌과 데이터를 균형 있게 활용하는 새로운 GT 접근법

GT 연구를 진행하시는 분들이라면, 기존 이론을 어떻게 활용할 것인지 고민해보는 것이 중요하겠습니다!
오늘 내용이 도움이 되셨다면, 댓글로 의견 남겨주세요 😊


Summary in Plain English:

  1. Traditional Grounded Theory (GT) suggests that researchers should avoid reading literature in their study area until after data analysis to prevent bias, but this approach has many practical and theoretical problems.
  2. Thornberg argues that completely avoiding existing theories is unrealistic because researchers always have prior knowledge, and ignoring literature can lead to a loss of valuable insights.
  3. Instead of purely inductive reasoning, abductive reasoning—moving back and forth between data and theories—helps researchers develop better explanations, much like how Sherlock Holmes solves cases.
  4. Informed Grounded Theory (Informed GT) proposes a balanced approach, where literature is used as a flexible tool to inspire, refine, and compare findings while ensuring that data remains central.
  5. This approach helps researchers create stronger, more relevant theories by critically engaging with literature, staying grounded in data, and continuously reflecting on their analytical choices.

한국어 번역:

  1. 전통적인 **근거이론(GT)**에서는 연구자가 편향을 방지하기 위해 연구 분야의 문헌을 데이터 분석이 끝날 때까지 읽지 말아야 한다고 주장하지만, 이 접근법에는 실용적·이론적 문제가 많다.
  2. Thornberg는 기존 이론을 완전히 배제하는 것은 비현실적이며, 문헌을 무시하면 중요한 지식을 놓칠 수 있다고 주장한다.
  3. 순수한 귀납적 접근 대신, 유추적 사고(abduction)—즉, 데이터와 이론을 오가며 더 나은 설명을 찾아가는 방식—가 연구자가 더 정확한 이론을 개발하는 데 유용하며, 이는 셜록 홈즈가 사건을 해결하는 방식과 유사하다.
  4. **정보기반 근거이론(Informed GT)**은 문헌을 유연한 도구로 활용하면서도 데이터를 중심에 두는 균형 잡힌 접근법을 제안한다.
  5. 이 접근법은 연구자가 문헌과 비판적으로 상호작용하고,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며, 지속적으로 분석적 선택을 반성함으로써 더 강력하고 관련성 높은 이론을 개발하도록 돕는다.

 

1. Selected Sentences, Translations, and Justifications


1) Original Sentence:

"There is a widespread idea that in grounded theory (GT) research, the researcher has to delay the literature review until the end of the analysis to avoid contamination – a dictum that might turn educational researchers away from GT." (p. 243)

📌 한국어 번역:

"Grounded Theory(GT) 연구에서는 연구자가 편향을 방지하기 위해 문헌 검토를 분석이 끝날 때까지 미뤄야 한다는 널리 퍼진 믿음이 있으며, 이는 교육 연구자들을 GT에서 멀어지게 만들 수 있다."

🔍 선택 이유:
이 문장은 논문의 핵심 문제를 제기하는 부분입니다. Thornberg는 GT 연구에서 문헌 검토를 지연하는 것이 오히려 연구자들에게 부담이 될 수 있음을 지적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본 논문의 주요 논지를 소개하고 있습니다.


2) Original Sentence:

"If this dictum is taken seriously, it makes it impossible for researchers to conduct studies in their own areas of expertise which appears odd and counter-intuitive." (p. 244)

📌 한국어 번역:

"이 원칙을 진지하게 받아들인다면, 연구자들이 자신의 전문 분야에서 연구를 수행하는 것이 불가능해지며, 이는 직관적으로도 이상하게 보인다."

🔍 선택 이유:
이 문장은 GT의 순수 귀납적 접근 방식이 비현실적이라는 점을 강조하는 핵심 논점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연구자가 자신의 전문 지식을 버리고 연구해야 한다는 주장이 비합리적이라는 점을 간결하게 설명합니다.


3) Original Sentence:

"Ignoring established theories and research findings implies a loss of knowledge." (p. 245)

📌 한국어 번역:

"기존의 이론과 연구 결과를 무시하는 것은 곧 지식의 손실을 의미한다."

🔍 선택 이유:
문헌 검토를 무시하는 것이 단순한 연구 방법론적 선택이 아니라, 지식의 축적을 거부하는 행위임을 명확히 지적하는 강렬한 문장입니다. Thornberg가 GT의 원칙 중 하나를 강하게 비판하는 부분입니다.


4) Original Sentence:

"Like the fictional detective Sherlock Holmes, a researcher who uses abductive reasoning constantly moves back and forward between data and pre-existing knowledge or theories, and makes comparisons and interpretations in the searching for patterns and best possible explanations." (p. 247)

📌 한국어 번역:

"가상의 탐정 셜록 홈즈처럼, 유추적 사고를 사용하는 연구자는 데이터와 기존 지식 또는 이론 사이를 끊임없이 오가며, 패턴과 최상의 설명을 찾기 위해 비교하고 해석한다."

🔍 선택 이유:
이 문장은 본 논문의 핵심 개념 중 하나인 **유추적 사고(abduction)**를 효과적으로 설명하는 동시에, 연구자의 역할을 탐정에 비유하여 직관적으로 이해하기 쉽게 만든다는 점에서 중요합니다.


5) Original Sentence:

"If researchers reject a naïve empiricism as well as theoretical forcing, then they do not dismiss extant theoretical and research literature nor apply it mechanically to empirical cases." (p. 249)

📌 한국어 번역:

"연구자가 순진한 경험주의뿐만 아니라 이론의 강제 적용을 거부한다면, 기존의 이론 및 연구 문헌을 무시하지도 않고, 이를 경험적 사례에 기계적으로 적용하지도 않게 된다."

🔍 선택 이유:
Thornberg의 Informed GT가 단순히 기존 GT의 원칙을 부정하는 것이 아니라, 문헌을 유연하고 창의적으로 활용하는 접근법임을 강조하는 문장입니다.


6) Original Sentence:

"What I call informed grounded theory refers to a product of a research process as well as to the research process itself, in which both the process and the product have been thoroughly grounded in data by GT methods while being informed by existing research literature and theoretical frameworks." (p. 249)

📌 한국어 번역:

"내가 말하는 Informed Grounded Theory란 연구 과정과 그 결과물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GT 방법론을 통해 데이터에 철저히 기반하면서도 기존 연구 문헌과 이론적 틀에 의해 정보가 제공되는 방식을 의미한다."

🔍 선택 이유:
논문의 가장 중요한 개념인 Informed GT의 정의를 설명하는 문장입니다. 이 논문의 핵심 기여를 요약하는 문장으로, 연구 방법론적으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집니다.


7) Original Sentence:

"The literature review should therefore be seen as an open, critical and pluralistic conversation between the researcher, the literature, the data and the 'emerging' body of concepts and ideas." (p. 250)

📌 한국어 번역:

"따라서 문헌 검토는 연구자, 문헌, 데이터, 그리고 '생성되는' 개념과 아이디어들 간의 개방적이고, 비판적이며, 다원적인 대화로 간주되어야 한다."

🔍 선택 이유:
문헌 검토를 단순한 참고 과정이 아닌, 연구자가 데이터를 해석하는 과정에서 끊임없이 이루어지는 동적인 대화 과정으로 정의하는 점이 독창적이기 때문입니다.


8) Original Sentence:

"Extant theoretical concepts and ideas from literature in the substantive field have to earn their way into a GT in the same way as Glaser (1978, 1998, 2005) argues that theoretical codes must earn their way." (p. 252)

📌 한국어 번역:

"기존 문헌의 이론적 개념과 아이디어들은 Glaser(1978, 1998, 2005)가 이론적 코드가 연구에서 자리를 차지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GT에서 그 자리를 차지해야 한다."

🔍 선택 이유:
이 문장은 문헌 검토가 무비판적으로 적용되어서는 안 되지만, 그렇다고 완전히 배제될 필요도 없음을 설명하는 균형 잡힌 논점을 제공하기 때문입니다.


9) Original Sentence:

"By being informed, the researcher not only situates his or her study and its product in the current knowledge base of the field but will also contribute to it by extending, challenging, refining, or revising it." (p. 254)

📌 한국어 번역:

"연구자가 정보를 기반으로 연구를 수행함으로써, 자신의 연구와 연구 결과를 해당 분야의 기존 지식 기반에 위치시킬 뿐만 아니라, 이를 확장하고, 도전하고, 정교화하거나 수정함으로써 기여할 수도 있다."

🔍 선택 이유:
이 문장은 연구자가 기존 문헌과 상호작용하면서 새로운 지식을 창출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중요한 결론 부분입니다.


10) Original Sentence:

"While I directly address GT here, these principles address more broadly the analytical relationship between literature and data in an array of qualitative research approaches." (p. 254)

📌 한국어 번역:

"나는 여기서 GT에 초점을 맞추고 있지만, 이러한 원칙들은 더 넓게는 다양한 질적 연구 접근법에서 문헌과 데이터 간의 분석적 관계를 다룬다."

🔍 선택 이유:
논문이 단순히 GT에 국한되지 않고, 질적 연구 전반에서 문헌과 데이터의 관계를 탐구하는 데 유용함을 강조하는 중요한 문장입니다.


🔹 결론

이 10개의 문장은 논문의 핵심 메시지를 가장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부분입니다. Thornberg가 기존 GT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문헌 검토를 유연하게 활용하는 Informed GT 접근법을 제안하는 논지를 단계적으로 보여주고 있기 때문입니다.

 

 

 

Here is a detailed explanation of each section and subsection of Robert Thornberg’s (2012) article Informed Grounded Theory, written in relatively plain English but still maintaining key terminologies.


Introduction

Thornberg introduces the main issue of the paper: the role of literature in Grounded Theory (GT) research. There is a widespread belief that researchers should delay reviewing existing literature until they have completed their analysis. This belief is based on the idea that prior knowledge might bias researchers, leading them to impose pre-existing ideas onto their findings. However, Thornberg argues against this notion and suggests that existing literature can actually enhance GT research if used correctly. He introduces the concept of Informed Grounded Theory (Informed GT), which integrates literature into the GT research process in a systematic and flexible way.


Classic Grounded Theory and the Delay of Literature Review

Background on Grounded Theory

GT was originally developed by Glaser and Strauss (1967) as a way to create theories from data, rather than testing pre-existing theories. It emerged as a response to the dominance of hypothetico-deductive methods, which focused on testing grand theories rather than discovering new ones through observation.

Over time, different versions of GT emerged:

  • Classic GT (Glaserian GT), which emphasizes pure induction (letting theories emerge from data without prior influence).
  • Straussian GT, which allows for more structured data analysis.
  • Constructivist GT (Charmaz, 2000, 2006), which acknowledges the role of researchers in interpreting data rather than assuming objectivity.

The "Dictum" of Delaying Literature Review

Classic GT, especially as emphasized by Glaser, argues that researchers should not review literature in their area of study until after they have developed their theory. The reasoning is:

  1. Avoiding Bias – Researchers should remain open to discovering new patterns rather than fitting data into pre-existing frameworks.
  2. Unknown Relevance – Since researchers do not yet know what their findings will be, they do not yet know which literature is relevant.
  3. Saving Time – Reading the "wrong" literature too early could be a waste of effort.

Problems with Delaying Literature Review

Thornberg critiques this approach by highlighting six major problems:

  1. Researchers Cannot "Unlearn" Prior Knowledge
    • Researchers inevitably enter a study with some background knowledge.
    • Pretending to be a "theoretical virgin" is unrealistic.
  2. Encouraging Ignorance
    • The delay can be used as an excuse for not engaging with existing knowledge, which weakens the credibility of research.
  3. Limiting Research Scope
    • If researchers avoid reading literature to avoid bias, they will eventually find themselves constrained, as their knowledge base becomes too narrow.
  4. Practical Constraints
    • Funding applications and ethical reviews require researchers to outline their theoretical background, making a total avoidance of literature impossible.
  5. Loss of Accumulated Knowledge
    • Researchers risk "reinventing the wheel" and missing important insights from previous studies.
  6. Unrealistic Expectations of Objectivity
    • All observation is "theory-laden" (influenced by prior knowledge). There is no truly "neutral" researcher.

Problems of Pure Induction in GT

GT is often associated with pure induction, the idea that theory should emerge solely from data without prior theoretical influence. However, Thornberg highlights several philosophical critiques:

  • All data interpretation is influenced by prior knowledge. Even when researchers claim to be unbiased, their understanding is shaped by their existing worldview.
  • Glaser’s own work is contradictory. While he warns against bias from prior literature, he also encourages researchers to read broadly in other fields to enhance theoretical sensitivity.
  • Scientific reasoning is not purely inductive. Even Sherlock Holmes used abductive reasoning—moving between data and hypotheses to refine understanding.

The Abductive Turn and Its Relation to Literature

What is Abduction?

Abduction is a form of reasoning where researchers generate the most plausible explanation based on available data. Unlike:

  • Deduction (which tests pre-existing theories) and
  • Induction (which builds theories purely from observation),
  • Abduction involves shuttling back and forth between ideas and data to generate new insights.

This approach acknowledges that researchers do not start with a blank slate, and it allows for creative and flexible theorizing.

Sherlock Holmes as a Model

  • Just as Holmes revises his theories by analyzing clues, grounded theorists should move between data and existing knowledge to refine their insights.

Epistemology, Constructivist GT, and Using Literature

Thornberg aligns his approach with constructivist GT, which rejects the idea of an objective reality that researchers "discover." Instead, constructivist GT:

  • Views data as co-constructed (shaped by both researcher and participants).
  • Acknowledges multiple realities rather than one absolute truth.
  • Allows for prior theoretical knowledge to inform research, rather than pretending researchers have no background understanding.

Constructivist GT vs. Classic GT

Feature Classic GT (Glaser) Constructivist GT (Charmaz, Thornberg)

View on Literature Delay review Use literature flexibly
Researcher's Role Passive observer Active co-constructor
View on Reality Objective truth Multiple realities

Informed Grounded Theory: A New Approach

Definition

Thornberg proposes Informed GT as a middle ground between pure induction and theoretical forcing. This approach:

  1. Uses literature as a tool for inspiration without blindly applying it.
  2. Encourages researchers to engage with existing knowledge but stay critical.
  3. Allows for theoretical pluralism, meaning multiple perspectives can be used.

Key Principles of Informed GT

  1. Theoretical Agnosticism – Researchers should not be overly committed to any one theory.
  2. Theoretical Pluralism – Using multiple theories helps maintain an open mind.
  3. Theoretical Sampling of Literature – Literature review should evolve based on emerging findings.
  4. Staying Grounded – Literature should support, not override, the data.
  5. Theoretical Playfulness – Researchers should creatively explore different perspectives.
  6. Memoing Extant Knowledge Associations – Writing memos can help integrate literature without forcing it.
  7. Constant Reflexivity – Researchers should continuously reflect on how their background shapes analysis.

Conclusion

Thornberg concludes that:

  • GT remains valuable in educational research but must evolve.
  • Pure induction is unrealistic, and literature should be used strategically rather than avoided.
  • Informed GT provides a pragmatic and flexible alternative that allows researchers to benefit from existing knowledge while staying true to the data.

Final Thoughts

Thornberg’s argument essentially modernizes GT by acknowledging the practical and philosophical flaws in its earlier versions. He provides a structured way to incorporate literature into GT research without compromising its core strengths. The paper challenges researchers to be critical, flexible, and creative while maintaining rigor in qualitative inquiry.

Would you like a summary of this explanation in even simpler terms? Or do you need help applying these concepts to your own research?

 

 

다음은 Robert Thornberg(2012)의 논문 Informed Grounded Theory의 각 섹션과 하위 섹션을 한국어로 번역한 것입니다. 중요한 용어는 유지하면서도 이해하기 쉽게 설명했습니다.


서론

Thornberg는 이 논문의 주요 논점을 소개합니다. 그것은 Grounded Theory(GT) 연구에서 문헌 검토(literature review)의 역할입니다. 기존의 GT에서는 연구자가 분석을 완료할 때까지 기존 문헌을 검토하지 말아야 한다는 믿음이 널리 퍼져 있습니다. 이러한 믿음은 사전 지식이 연구자를 편향되게 만들어, 기존 개념을 연구 결과에 강제로 적용할 위험이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Thornberg는 이러한 관점을 비판하며, 기존 문헌을 적절히 활용하면 GT 연구가 더욱 향상될 수 있다고 주장합니다. 이를 위해 그는 문헌을 체계적이고 유연하게 통합하는 Informed Grounded Theory (Informed GT, 정보기반 GT) 개념을 제안합니다.


고전적 Grounded Theory와 문헌 검토 지연

Grounded Theory의 배경

GT는 **Glaser와 Strauss(1967)**가 개발한 연구 방법론으로, 기존 이론을 검증하는 것이 아니라 데이터로부터 이론을 창출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이는 가설-연역적(hypothetico-deductive) 방법이 지배적이었던 당시 사회과학 연구 패러다임에 대한 반발에서 비롯되었습니다.

GT는 이후 여러 갈래로 발전하였습니다:

  • 고전적 GT (Glaserian GT): 연구자는 순수 귀납적(pure induction) 접근 방식을 유지해야 하며, 사전 이론을 배제해야 한다는 입장.
  • Straussian GT: 보다 구조적인 데이터 분석 절차를 포함.
  • 구성주의 GT (Constructivist GT, Charmaz 2000, 2006): 연구자가 데이터를 단순히 발견(discover) 하는 것이 아니라, 구성(construct) 한다고 봄.

문헌 검토를 미루어야 한다는 "원칙"

고전적 GT(특히 Glaser의 주장)에 따르면 연구자는 문헌 검토를 연구의 마지막까지 미루어야 합니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편향을 방지하기 위해
    • 연구자가 기존 개념에 영향을 받지 않고 데이터를 해석해야 한다.
  2. 문헌의 관련성을 사전에 알 수 없기 때문에
    • 연구가 끝나야 어떤 문헌이 유용한지 알 수 있음.
  3. 시간 절약
    • 너무 이른 문헌 검토는 연구 과정에서 불필요한 자료를 읽게 만들 수 있음.

문헌 검토를 미루는 것의 문제점

Thornberg는 이 접근 방식이 여러 가지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고 지적합니다:

  1. 연구자는 기존 지식을 "잊을 수" 없다
    • 연구자는 자신의 분야에 대한 사전 지식을 가지고 있으며, 이를 완전히 배제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함.
    • 연구자가 "이론적 백지상태(theoretical virgin)"라고 주장하는 것은 비현실적임.
  2. 무지(ignorance)를 조장할 위험이 있음
    • 연구자가 문헌을 검토하지 않는 것이 게으름의 핑계가 될 수 있음.
    • 문헌 검토가 부족한 연구는 신뢰도를 잃을 가능성이 높음.
  3. 연구의 범위를 제한할 수 있음
    • 연구자가 문헌을 피하면, 연구 분야에 대한 시야가 점점 좁아질 가능성이 큼.
  4. 실질적인 연구 절차와 맞지 않음
    • 연구자들은 보통 연구 기획 단계에서 연구 제안서를 작성하고, 윤리 심사를 받으며, 연구비를 신청함.
    • 이 과정에서 기존 문헌을 검토하고 연구 목적을 명확히 할 필요가 있음.
  5. 기존 지식이 쌓아온 성과를 활용하지 못함
    • 기존 연구를 무시하면, 연구자는 "이미 존재하는 개념을 재발명"하거나, 기존 연구에서 이미 지적된 문제를 반복할 수 있음.
  6. 완전한 객관성에 대한 비현실적인 기대
    • 모든 관찰은 "이론에 의해 영향을 받음(theory-laden)", 즉 연구자의 기존 지식과 관점이 개입될 수밖에 없음.

GT에서 순수 귀납적 접근 방식의 문제

GT는 흔히 **순수 귀납적 방법론(pure induction)**과 연관되지만, Thornberg는 철학적 논의를 바탕으로 이를 비판합니다:

  • 모든 데이터 해석은 기존 지식의 영향을 받음
    • 연구자가 아무리 노력해도 완전한 백지 상태에서 데이터를 분석하는 것은 불가능함.
  • Glaser의 주장 자체도 모순적임
    • 그는 기존 개념이 연구를 방해한다고 주장하면서도, 연구자가 다른 분야의 문헌을 읽고 이론적 민감성(theoretical sensitivity)을 키워야 한다고 주장함.
  • 과학적 탐구는 순수 귀납이 아니라 유추적 사고(abductive reasoning)를 포함함
    • 연구자는 "데이터가 말해주는 것"을 수동적으로 받아들이는 것이 아니라, 기존 지식과의 비교를 통해 해석하고 설명을 발전시켜야 함.

유추적 사고(Abduction)와 문헌 검토의 역할

유추적 사고란?

유추(abduction)는 연구자가 가장 가능성 높은 설명을 찾아내는 논리적 과정입니다.

  • 연역(deduction): 기존 이론을 검증하는 방식.
  • 귀납(induction): 데이터를 기반으로 이론을 창출하는 방식.
  • 유추(abduction): 데이터를 기존 개념과 비교하며 가장 적절한 설명을 찾는 방식.

셜록 홈즈 모델

  • Thornberg는 연구자가 셜록 홈즈처럼 탐정적 접근법을 활용해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 홈즈가 여러 단서를 조합하여 최선의 설명을 찾듯이, 연구자도 데이터를 다양한 이론과 비교하며 해석해야 함.

구성주의 GT와 문헌 검토의 필요성

구성주의 GT(Constructivist GT)는 기존 GT의 순수 귀납적 접근을 거부하며, 연구자의 역할을 다음과 같이 정의합니다:

  • 연구자는 발견하는(discover) 것이 아니라 구성하는(construct) 존재이다.
  • 데이터는 연구자와 참여자의 상호작용 속에서 공동 구성(co-construction) 된다.
  • 연구자는 연구 과정에서 기존 지식을 비판적으로 활용해야 한다.

정보기반 GT (Informed GT)

정의

Informed GT는 순수 귀납과 이론 강제(theoretical forcing) 사이의 중도적 접근 방식입니다.
이 접근 방식은:

  1. 문헌을 영감의 원천으로 사용 (그러나 무비판적으로 적용하지 않음).
  2. 기존 연구와 이론을 적극 활용 (단, 유연하게 적용함).
  3. 다양한 이론적 관점을 결합 (Theoretical pluralism).

Informed GT의 핵심 원칙

  1. 이론적 불가지론(Theoretical Agnosticism) – 특정 이론에 얽매이지 않기.
  2. 이론적 다원주의(Theoretical Pluralism) – 다양한 이론을 비교하며 활용하기.
  3. 문헌의 이론적 샘플링(Theoretical Sampling of Literature) – 연구 진행에 따라 문헌 검토 방향을 조정하기.
  4. 데이터에 기반하기(Staying Grounded) – 문헌이 아니라 데이터를 우선하기.
  5. 이론적 유희(Theoretical Playfulness) – 창의적으로 이론을 활용하기.
  6. 메모 활용(Memoing) – 연구자의 사고 과정을 기록하며 반성적으로 검토하기.

결론

Thornberg는 GT의 순수 귀납적 접근이 비현실적이며, 문헌을 전략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더욱 실용적이고 창의적인 연구를 가능하게 한다고 주장합니다.

 

 

 

Thornberg, R. (2012). Informed grounded theory. Scandinavia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56(3), 243-259.